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172번 확진자 놓고 '헛발질 연속'…사태 키운 보건당국



대전

    172번 확진자 놓고 '헛발질 연속'…사태 키운 보건당국

    진정세 접어드는 듯했던 메르스, 또 다시 '빨간불'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윤성호 기자/자료사진)

     

    진정세로 접어드는 듯했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가 보건당국의 잇따른 방역 실패로 또 다시 비상이 걸렸다.

    특히 22일 대전에서 확인된 추가 확진자를 둘러싸고 당국이 보인 모습은 그야말로 '헛발질의 연속'이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 격리기간 잘못 셌다 =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가 이날 감염사실을 공개한 172번(61·여) 환자는 대전 대청병원 간병인으로, 지난 13일 자가격리가 풀렸다.

    그러나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난 것은 그로부터 이틀 뒤인 15일부터였다.

    격리 해제 후 발병한 첫 사례인데, 이에 대해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의 해명은 '격리기간을 세는데 착오가 있었다'는 것이었다.

    메르스 확진자와 마지막으로 접촉한 시점이 지난달 30일에서 지난 1일로 늦춰지면서, 자가격리 기간 역시 13일이 아닌 15일까지였어야 된다는 것.

    정은경 현장점검반장은 "172번 환자는 최종 노출일을 좀 더 정교하게 해서 관리 기간을 정했어야 되는데 대청병원에서 확진환자가 계속 발생하는 상황에서 며칠 정도의 누락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 역학조사도 엉터리 = 172번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도 허점투성이였다.

    이날 오전 일일 상황 브리핑을 가진 대전시는 당초 이 환자가 외부와는 접촉이 없었다고 발표했다.

    강철구 시 보건복지여성국장은 "역학조사를 어제(21일) 질병관리본부에서 한 결과, 집에 계속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며 "함께 거주한 아들만 자가격리 조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환자는 인근 주민센터까지 다녀온 것으로 드러났다.

    뒤늦게 주민센터 직원 2명과 민원인 8명이 자가격리되고 12명에게 능동관리 조치가 내려졌지만, 지역사회 감염 우려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 대전시는 몰랐다 = 엉터리 격리기간에 엉터리 역학조사.

    이 모든 사실을 이날 오후까지도 대전시는 까맣게 몰랐다.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대로 통보를 받지 못했다는 것.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