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 폭락세가 이어지면서 상장사의 절반이상이 스스로 거래정지를 신청하는 등 비관론이 확산하고 있다.
중국 상하이와 선전 증시에 상장된 2천776개 기업 가운데 8일까지 거래정지를 신청한 기업은 50%를 넘는 1429개 기업이라고 8일 홍콩 봉황망이 보도했다.
6일까지 A증시에 상장된 기업 800여개가 거래중단을 신청한데 이어 7일에도 모두 600여개 기업이 거래정지를 신청했다.
중국 증권가에서는 이런 거래정지 바람이 전례가 없었던 현상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거래정지를 신청한 기업 대부분이 '중대계획 준비중' 등을 이유로 제시했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이들 대부분이 최근 증시폭락 상황에서 잠시 벗어나기 위해 대피 중인 것으로 보고 있다.
증시파동으로 큰 자산손실을 겪고 있는 일반 투자자 역시 이들 거래정지 기업을 양심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중국 증시는 최근 당국의 신용규제 완화, 기업공개(IPO) 속도 조절, 선물 거래량 제한 등 다양한 부양책과 비상조치에도 불구하고 급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CNN 머니는 7일 베스포크 인베스트먼트 그룹 집계를 인용해 중국 증시 파동으로 3조2천500억 달러가 증발했다면서, 이것이 프랑스 증시 전체와 맞먹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일본 증시로는 약 60%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8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5.9% 급락한 3507.19, 선전성분지수는 2.94% 하락한 11,040.89로 각각 마감하며 폭락세를 지속했다.
상하이 종합지수는 이날 장 초반 8% 넘게 떨어져 3500선 밑으로 내려가기도 했다.
한편 파이낸셜타임스(FT)는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최근 유럽순방에서 그리스 위기 해법을 논의한 직후 벌어진 자국의 증시 폭락 사태를 마주하고 격노했다고 총리 측 관계자들을 인용해 전했다.
{RELNEWS:right}리 총리가 지난 주말 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으며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증감회)가 지난 5일 증권회사에 대출 제공을 발표한 것 등에서 이러한 노력이 드러난다고 FT는 분석했다.
그러나 중국 증시를 둘러싼 비관론은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FT는 리 총리가 지난 7일 "리스크에 대응할 능력이 있다"고 강조했지만, 시장은 이를 '베이징 지도부가 벅차다'는 메시지로 받아들이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중국 지도부 동정에 밝은 익명의 소식통은 FT에 "중국 지도부가 증시 파동을 시스템 위기로보다는, 사회 불안정이란 정치적 측면에 비중을 두고 접근하는 모습이 완연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