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가 지난 5월 주한미군 오산기지에 '살아있는 탄저균'이 배달된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심각한 실수라고 공식 밝혔다.
프랭크 켄달 미 국방부 조달군수담당 차관은 23일(현지시간) 탄저균 배달 사고 진상조사와 관련한 브리핑에서 오산기지로 보내진 탄저균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다시는 발생해서는 안되는 심각한 실수였다"고 말했다.
또 "변명의 여지가 없는 실수로 우리는 그것을 고치기 위해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오산 기지 연구실에만 실험용으로 보내졌으며 다른 곳에는 배달되지 않았다고 했다.
켄달 차관은 탄저균을 주한미군에 배달한 이유에 대해 "한국에서 탄저균 공격이 있을 경우 사람들을 보호할 위치에 있고 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보낸 것"이라고 말했다.
한반도에서의 탄저균 공격 가능성에 대해서는 "테러 집단이나 국가로부터 생물학적 공격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면서 "생물학적 공격 위협은 여러 이유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존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탄저균을 계속 한국에 보낼 것이냐는 질문에는 "현재로서는 그럴 의도가 없다"면서 "한국 정부와 협의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켄달 차관은 이번 배달 사고가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등에 위반되는지 여부에 대해 "협정 위반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며 "어떤 국제적 규약도 위반한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미 국방부는 탄저균 배달 사고와 관련한 진상 조사 보고서를 통해 지난 10년간 미국 유타주의 더그웨이 연구소에서 살아있는 탄저균이 배달된 곳은 미국과 전세계 7개국 실험실 86곳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연구·개발용으로 쓰이는 탄저균은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방사선을 통해 완전히 비활성화된 상태로 배송하도록 돼 있는 만큼 살아있는 탄저균을 배달한 것은 심각한 규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탄저균의 수가 적어 일반 대중에게 노출된 위험은 없었다고 밝혔다. 로버트 워크 미 국방부 부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일반인과 동맹국과 파트너들, 그리고 군 장병에 대한 위험은 없었고 탄저균 감염 사례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다만 살아있는 탄저균이 배달된 정확한 원인은 여전히 규명되지 못했다.
보고서는 방사선 처리 과정에서 탄저균이 완전히 비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고 비활성화된 탄저균이 시간이 지나면서 스스로 손상된 상태를 회복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비활성 여부가 체크되지 않은 원인도 샘플 규모나 배양 기간 등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또 실험실 요원들은 자체 관행을 정확히 따른 것으로 판단되지만 대신 탄저균을 완전히 비활성화시키는 관행과 절차, 인증 조치를 위한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기준이 없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