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우리나라가 11년째 OECD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1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통계는 우리 사회시스템 전반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음이 켜진 것으로 더 이상 외면하거나 방치해서는 안되는 심각한 문제다.
OECD가 발표한 2015건강통계를 보면 지난 2013년 기준으로 회원국의 자살로 인한 평균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12.1명이었으나 한국의 평균사망률은 29.1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평균자살률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이다.
자살률 2위 헝가리는 10만명당 19.4명, 3위는 일본으로 18.7명이었다.
청소년 사망 원인 가운데 1위가 자살이고 노인자살률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
심각한 것은 다른 나라들의 경우 자살률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데 한국의 경우 1998년 IMF 사태 이후 급격히 치솟기 시작해 지난 20년 사이 3배 가까이 급증했다.
일본의 경우도 2010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자살률이 이처럼 다른 OECD국가 가운데 월등히 높고 또 자살률이 급증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신호이다.
더이상 자살을 우울증이나 개인적 정신건강의 문제로 돌려서는 안된다.
경제 규모는 갈수록 커지고 있고 평균수명도 높아지고 있는데도 자살률이 치솟는 것은 사회 경제적 원인 이외에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
성장 제일주의에 매달려 최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경제 규모는 커졌지만 만성화된 실업, 비정규직의 양산 등 고용불안, 극도의 무한경쟁 속에 갈수록 격화되는 양극화 등이 빚어낸 병리현상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더욱이 사회안전망은 너무 허술해 노인의 절반 이상이 빈곤층으로 전락해 노인자살률은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