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비상 걸린 낙동강'…정수에도 발암물질 검출



대구

    '비상 걸린 낙동강'…정수에도 발암물질 검출

    4대강 사업 이후 수질 악화, 독소 발암물질 증가

    낙동강 녹조 (사진=자료사진)

     

    4대강 사업 이후 녹조대란을 겪는 낙동강 수질에 비상이 걸렸다.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낙동강 정수장 수질검사 결과'에 따르면 4대강 사업 이후 낙동강 취수장 원수와 정수 수질이 악화됐다.

    올해 환경부가 실시한 수질 독성검사 결과 문산취수장 등 낙동강 11개 취수장 원수에서 독소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LR)이 50건 검출됐다.

    이는 1건이 검출됐던 2013년에 비해 50배나 증가한 수치다.

    원수 수질이 악화되면서 정수 수질 역시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4년 기준으로 낙동강 정수장 13곳 중 9곳에서 검출된 발암물질인 총트리할로메탄(THMs)이 증가했다.

    4대강 사업 전후를 비교해 검출량은 17% 가량 늘었다.

    총트리할로메탄은 원수의 유기물질과 소독제인 염소가 반응해 생성되는 발암물질로 정화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RELNEWS:right}

    게다가 상수관을 통해 가정에 전달되면서 농도가 증가해 수질 관리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이에 심상정 의원은 "4대강 수질 개선을 위해 보 수문 개방과 함께 근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