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文‧安 갈등 해법으로 통합전대론 '부상'



국회/정당

    文‧安 갈등 해법으로 통합전대론 '부상'

    安의 혁신전대는 불가론이 다수…文, 통합전대·現지도부 유지 중 택할듯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왼쪽), 안철수 전 공동대표 (사진=자료사진)

     

    새정치민주연합을 갈등의 소용돌이로 몰아넣고 있는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합전당대회론이 부상하고 있다.

    다만 당대표의 사퇴가 필요한 통합전대에 대해 문 대표는 "기존 혁신안의 실천"을 필수불가결한 전제로 내걸고 있어, 이런 전제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문 대표가 현 지도체제를 고수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당내 의견에 따라 문 대표가 혁신안 실천을 전제로 백의종군해 통합전대가 개최되거나 현 지도체제로 내년 총선을 준비하는 방안 중 한 가지를 선택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안철수 전 대표가 제안한 혁신전대 개최문제와 안 전 대표와 문 대표가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중간지대를 자처해온 그룹들이 자체 모임을 개최하며 양측의 접점을 찾기 위해 백방으로 뛰고 있다.

    먼저 이석현 국회부의장과 박병석 전 부의장 등 일부 중진들은 전날 문 대표 체제로 내년 총선을 치르기 힘들다는 판단에 따라 새로운 지도체제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병석 전 부의장은 "큰 틀에서 보면 통합전대로 가야 하는거냐, (혁신)전대로 가야 하는거냐, 그런 논의를 하고 있다"며 "아직 (중진 의원들의) 의견이 일치된 건 아니고, 서로 의견을 모아가는 단계"라고 전했다.

    문·안이 참여하는 '세대혁신 비상기구' 설치를 일찌감치 제안한 중도인사 8명의 모임인 '통합행동'도 같은 날 회동을 통해 지도체제 개편에 대한 논의를 주고 받았다.

    당 최고위원들도 1일 문 대표를 제외한 채 별도 회동을 갖고 사태 해결방안을 모색했다.

    회동에서 다수의 최고위원들은 "지금 상황에서 (당내 인사만 참여하는) 전대를 개최하면 갈등이 증폭되는 분열의 전대가 될 우려가 높다"며 안 전 대표의 혁신전대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표 역시 전날 당 최고위에서 "혁신위의 혁신안조차 거부하면서 혁신을 말하는 것은 혁신의 진정성을 인정받기 힘들다"며 안 전 대표가 제안한 혁신전대에 대한 거부 입장을 밝힌바 있어 혁신전대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희박한 상황이다.

    당내 여론은 현 지도체제로 내년 총선을 준비하는 것은 어렵다는 공감대가 당내에서 이뤄진 만큼 지도체제 개편과 통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통합전대가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지난 10월 통합행동을 중심으로 통합전대론이 나온 뒤 문 대표 역시 '야권을 포괄하는 통합움직임은 찬성'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진 점도 통합전대에 힘이 실리는 이유 중 하나다.

    ◇ 文 사활건 '혁신안 유지'가 통합전대 관건

    다만 통합전대 개최를 위해서는 문 대표의 사퇴가 필요하기 때문에 문 대표가 여러차례 강조한 '혁신안 실천 가능성의 담보'가 향후 통합전대 현실화의 열쇠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