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문병호 "安 탈당? 혁신 좌절땐 당밖 새흐름 모색"



국회/정당

    문병호 "安 탈당? 혁신 좌절땐 당밖 새흐름 모색"

    -문안박연대, 文대표의 대국민 홍보용
    -모든 계파, 혁신안 들고 전대 나와야
    -安혁신안, 김상곤안보다 훨씬 강해
    -국민 피로감? 실수 많지만 모시고 가야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문병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새정치민주연합, 문 대표, 안 전 대표 사이의 핑퐁게임. 문재인 대표가 먼저 문안박 연대라는 공을 던졌죠. 그러자 안 전 대표는 이 공을 뿌리치면서 혁신전당대회라는 다른 공을 던진 겁니다. 이렇게 해서 공이 다시 문재인 대표에게 넘어갔는데요. 지금 들리는 얘기로는 문 대표가 안철수 전 대표 제안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알려집니다.

    만약 문재인 대표가 이 안을 받지 않으면 안철수 전 대표는 어떻게 되는 걸까요? 새정치민주연합은 어디로 가는 걸까요? 안철수 전 대표의 비서실장 출신이죠. 최측근 문병호 의원 연결이 돼 있습니다. 문 의원님, 안녕하세요.

    ◆ 문병호> 안녕하세요.

    ◇ 김현정> 먼저 문안박 연대를 안철수 전 대표가 받지 못한 이유, 직접 설명을 좀 해 주실까요?

    ◆ 문병호> 그 문안박 연대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문재인 대표 주도의, 문재인 대표 유지돌파용 구도입니다. 그래서 안철수 전 대표로서는 사실 선뜻 참여하고 싶지 않은 구도에요, 원래부터.

    ◇ 김현정> 그게 무슨 말씀이세요?

    ◆ 문병호> 문재인 대표께서 정말 진정성을 가지고 절실하게 당을 위해서 '정말 우리가 잘해 보자, 내가 모든 걸 내려놓겠다' 이렇게 나오셨으면 할 수도 있었겠죠. 그런데 사실 저도 문재인 대표님이 제안하시기 전에 안 전 대표님에게 이걸 받아야 된다고 얘기했어요. 그런데 문 대표가 제안하는 걸 보고 저도 반대했습니다. 이런 식의 제안이 무슨 진정성이 있고 절실함이 있고 실질적으로 뭘 하자는 건지. 결국은 안철수 대표가 들러리를 서라, 결국 그거입니다.

    ◇ 김현정> 진정성이 없다고 보신 결정적인 이유는 뭘까요?

    ◆ 문병호> 문 대표께서 하고 싶은 거 다 자기는 하겠다는 겁니다. 또 그날 어떤 얘기 하셨냐면, '대표를 비판하는 사람은 공천이나 탐하는 나쁜 사람들이다' 이렇게 얘기를 했어요. 정말 당 대표로서 해서는 안 될 말씀을 하신 겁니다. 당 대표는 모든 세력을 다 껴안고 자기를 비판하는 사람도 포용하고 가는 것이 당 대표죠. 공개석상에서, 더군다나 안 전 대표에게 공동 문안박 연대를 제안하는 자리에서 '나를 비판하는 사람은 나쁜 놈들이다'라고 얘기하면 안철수 대표가 나쁜 사람이라는 것 아닙니까? 그런 식으로 제안을 하고 나서 같이 하자고 하면 안 되죠.

    ◇ 김현정> 정말 연대를 하겠다는...

    ◆ 문병호> 그것은 정말 절차에도 안 맞고 내용도 아무것도 안 맞는. 대국민 홍보용 제안이었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결국 그 카드는 받을 수가 없었고요. 그 대안으로 안철수 의원이 내놓은 게 혁신전당대회. 그러니까 각자가 혁신안을 내놓고 그걸로 당 대표를 다시 뽑아보자, 이런 얘기인 거죠?

    ◆ 문병호> 그렇습니다.

    ◇ 김현정> 거기에는 문 대표, 안 전 대표 다 나가고요?

    ◆ 문병호> 다 나오면 좋죠. 가장 바라는 것은 당내 모든 계파나 지도자들이 혁신전대에 나와서 혁신안을 가지고 경쟁을 해서, 거기서 뽑힌 지도부를 중심으로 총선을 치르자는 주장입니다. 사실 우리 당은 지금 리더십도 붕괴돼 있고 에너지가 많이 고갈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다시 회복하려면 결국은 국민과 당원밖에 이것을 충원해 줄 수가 없어요. 상층부의 정치적 합의에 의해서는 할 수 없다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전당대회를 반드시 해야 된다,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런데 지난번에 박영선 의원을 주축으로 해서 만든 통합행동에서 빅텐트 전당대회 하자는 아이디어 내놨을 때요. 그때 안철수 의원이 상당히 부정적이셨던 걸로 제가 기억을 하거든요. 통합이 아닌 봉합이다, 이러시면서.

    ◆ 문병호> 아니죠. 그때도 전당대회에 대해서는 동의를 했죠.

    ◇ 김현정> 그런가요?

    ◆ 문병호> 그때부터 전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 김현정> 그러면 그때도 부정적이었다는 이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닌 거였군요.

    ◆ 문병호> 그건 아닐 겁니다.

    ◇ 김현정> 그러면 혁신을 내놓고 전당대회에서 다시 겨루자라는 얘기는 당의 추인까지 받은 김상곤표 혁신안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 이런 질문으로 이어지는데요.

    ◆ 문병호> 그것은 새로운 지도부가 원점에서 다시 검토해야죠. 김상곤 혁신안이라는 것이 잘한 점도 있지만 부족한 점도 많기 때문에, 당연히 새로운 지도부가 검토해서 좋은 점은 계승 발전시키고 잘못된 것은 수정을 해야죠.

    예를 들어서 새로운 지도부가 판단해서 국회의원 50% 물갈이를 한다고 했으면 50% 물갈이해야 되는 거예요. 왜 20%를 해야 됩니까? 예를 들자면. 김상곤 혁신안이라는 게 금과옥조도 아니고 말이죠. 그것을 고수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얼마든지 새로운 지도부가 당의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카드가 있으면 그 카드를 실천하면 되는 것이고요. 김상곤 혁신안에 목맬 게 없어요.

    ◇ 김현정> 목맬 게 없다, 금과옥조가 아니다. 그런데 그게 장작 몇 개월에 걸쳐서 당에서 혁신위 만들고, 거기서 온갖 진통 끝에 만든 혁신안인데. 그렇게 단번에 무시하고 갈 수 있는 건가요?

    ◆ 문병호> 제가 무시하자는 것은 아니죠. 잘된 것은 계승 발전시키고 잘못된 것은 수정하자는 건데. 지금 많은 의원들이 혁신안에 대해서 불만이 많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그 당시에 통과시킬 때도 토론이 없었어요. 그냥 혁신안이 많이 부족하지만 '안 되면 당이 추락한다, 그러니까 일단 해 주고 나서 또 생각해 보자' 이렇게 문재인 대표가 사회볼 때 계속 그렇게 했습니다. 이것이 잘 됐다기보다도 이게 안 되면 우리 당이 정말 추락하니까 통과시킨 다음에 또 논의해 보자, 이렇게 해서 통과시킨 거예요. 그런데 이제 와서 그것이 마치 금과옥조처럼 말하면 안 되죠. 앞뒤가 안 맞아요.

    ◇ 김현정> 통과될 때부터 많은 사람들이 찜찜했던 혁신안인데. 왜 그걸 지금 붙잡고서 그것 때문에 안 된다고 말하냐? 이런 불만과 비판이세요?

     

    ◆ 문병호> 그렇습니다. 그때 토론도 제대로 안 했어요. 최고위원회에서도 토론 안되고. 당무위에서도 토론을 30분 했습니까? 10분, 20분 하고 방망이 치고, 이렇게 해 온 그런 혁신안인데.

    ◇ 김현정> 그런데 어제 문 대표가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말씀을 하셨냐면 '혁신위의 혁신안조차 거부하면서 혁신을 말한다면..' 물론 안철수 대표의 혁신을 말하는 거죠. “혁신의 진정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우리 당 혁신의 출발은 혁신위가 만든 혁신안의 실천으로, 거기에서 더 혁신하면 인적쇄신까지 가야 된다' 이렇게 말씀하시더라고요.

    ◆ 문병호> 이것도 제가 볼 때 좀 제대로 포인트를 짚지 못한 거고요. 혁신위의 혁신안을 거부한 게 아니에요. 지금 안철수 전 대표의 혁신안 중에는 혁신위보다 훨씬 더 센 혁신안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안철수 전 대표는 기소만 되면 공천 배제하자는 거 아닙니까? 혁신위안은 기소됐으면 심사해서 구제할 수 있다는 거고. 안철수 전 대표는 기소되면 그냥 공천 배제하는 거고요.

    오히려 안철수 전 대표의 혁신안이 더 강한 혁신이죠. 그리고 인적쇄신 문제도 당연히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어요. 이런 식의 워딩은 잘못 됐다고 보고요. 그래서 지금 혁신위의 혁신안이 쟁점이 아닙니다. 혁신안의 혁신위가 무슨 국민의 지지를 받는 것도 아니고. 우리 당의 국회의원들이 그 안을 지지하는 것도 아니에요.

    ◇ 김현정> 어쨌든 핵심은 당에서 만든 혁신안 때문에 너무 발목 잡힐 필요는 없다, 그 부분을 강조하시는 건데.

    ◆ 문병호> 새로운 지도부가 판단해서... 그리고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국회의원 50% 정리하자고 있으면 정리하는 거예요. 왜 그것을 금과옥조처럼 그걸 고수해야 된다고 합니까? 그것이야말로 아집이고 독선이죠.

    ◇ 김현정> 문병호 의원님, 어제 문 대표측으로부터 무슨 답변 받으신 거 있으세요, 비공식적으로라도?

    ◆ 문병호> 특별한 거 없습니다.

    ◇ 김현정> 특별한 거 없으십니까. 지금 언론 보도들 흘러나오는 거라든지, 방금 전의 워딩이라든지 종합해볼 때. 안철수 전 대표가 내민 혁신전대카드에 대해 문 대표는 거부하는 쪽을 택한 것 같습니다. 만약...

    ◆ 문병호> 현재로선 그런 것 같습니다.

    ◇ 김현정> 그렇게 보시죠. 만약 수용 거부로 최종 결론이 나오면 그때는 어떻게 하실 생각이세요, 안 대표측은?

    ◆ 문병호> 그것은 조금 더 구체적인 제안을 보고 판단할 문제라고 봅니다. 일단은 문안박 연대를 구상 한 것은, 결국은 현재의 체제로는 총선에 임할 수 없다라는 판단에서 스스로 인정한 건데. 안철수 전 대표께서 안 받아서, 그럼 모든 게 백지화 되고, 원래대로 현 체제로 가겠다는 것은 자가당착이죠.

    ◇ 김현정> 자가당착이다? 그러면 최악의 경우 안철수 전 대표는 탈당까지, 함께 같이 못 가는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계시는 건가요?

    ◆ 문병호> 그것은 문 대표께서 또 다른 구상을 내 세울지 모르겠어요. 플랜B가 있다는 얘기도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다른 구상을 내놓으면 또 모르겠는데. 만약에 없던 걸로 하고 지금 체제로 그냥 가겠다 이것은 저희가 동의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동의하기 힘들다. 그 말씀은 탈당까지 시사하는 수준으로 생각을 해도 되겠습니까?

    ◆ 문병호> 글쎄요. 거기까지는 말씀드리기 그렇고요. 여러 가지 당원들의 요구나 국민들의 요구가 저는 그렇게 가면 결국은 당도 망하고 문 대표도 망하는 길이기 때문에 저는 상식적으로 갈 수 없다고 생각하고요. 상식적인 판단이라면 저는 뭔가 변화를 줘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제가 왜 이런 질문을 자꾸 드리냐면, 지금 계속해서 문안 두 분이 핑퐁게임하듯이 계속 던지고 받고, 이 정도의 극한대치가 안철수 의원이 그저 영향력 키우기 차원으로 이루어지는 건 아닐 테고. 이것은 거의 목숨을 건 탈당이나, 탈당에 준하는 수준을 상정할 때만 나올 수 있는 정도가 아닌가 싶어서요. 이렇게 밀고 가시는 것이.

    ◆ 문병호> 저희 안 전 대표님이나 저나 또 많은 의원들이 가능하면 분열하지 않고 당내에서 혁신하고 통합하기를 바라고 있어요, 우선적으로. 그런데 만약에 당내에서 혁신과 통합을 실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도저히 불가능하다 그렇게 판단이 되면 새로운 흐름을 선택할 수 있겠죠. 그것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 김현정> 배제할 수 없다. 새로운 흐름을 선택할 수 있다. 가능하면 당내가 좋지만 당 밖의 새로운 흐름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 그 정도로 절박한 심정이라는 말씀이신데.

    ◆ 문병호>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시에는 모색할 수 있다 그런 정도입니다.

    ◇ 김현정> 지금 청취자 질문도 많이 들어옵니다마는, 이게 진짜 문-안 두 분이 함께 갈 수 있는 거냐? SNS상에서는 어떤 얘기가 나오냐면 소문 들으셨는지 모르겠어요. ‘문안박의 안을 안희정 지사로 바꿔서 가자’ 이런 얘기가 나올 만큼.

    ◆ 문병호> 그건 친노들 얘기입니다. SNS를 지배하고 있는 친노들 얘기고요. 그런 데 신경을 안 씁니다.

    ◇ 김현정> 지금 양초의 난이라는 말도 있어요. 두 초선 의원이 지금 난을 벌이고 있다, 당 전체가 상처를 입고 있다. 보는 국민들도 지칩니다. 언제까지 이러실 건가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