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대통령도 주지 못한 '위안'이란 선물 준 이세돌

인물

    대통령도 주지 못한 '위안'이란 선물 준 이세돌

    세기의 대결 속 메시지…'패배한 인간의 아름다운 역설'

    이세돌 9단이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인공지능 알파고와의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5번기 제5국을 마친 뒤 데미스 하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대표로부터 선물을 받고 있다. (사진=구글 제공)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AI) 알파고의 대결이 막을 내린 가운데, 학자들은 이번 대국을 통해 철학적인 고민과 의제를 발견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중앙대 사회학과 이나영 교수는 "이번 대국은 승패를 떠나 우리 인류에게 던져주는 메시지가 많다"며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이 9단이 비록 알파고와의 대결에서 패배했지만, 그의 의연한 모습과 국민을 위로하는 마음에서 진정한 인간다움이 발현됐다는 것.

    이 교수는 "이 9단이 '이번 패배는 인간의 패배가 아니라 이세돌 개인의 패배'라며 상심한 국민을 위로했던 대목에서, 역설적으로 기계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인간의 아름다움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깉은 학과 이병훈 교수도 "이 9단이 백을 잡았을 때 유리하다는 사실을 간파하고도 자진해서 흑을 잡은 이 9단을 보면서 기계에 없는 도전정신과 자존심, 기개를 느꼈다"며 "이것이야말로 인간의 소중한 자산이며 지켜나가야 할 덕목"이라고 강조했다.

    인간과 기계의 관계는 고민해야 할 대목으로 꼽히고 있다.

    서울대 인류학과 강정원 교수는 "문화의 발전과 기계의 발전 사이에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며 "발달한 기계가 만들어낸 새로운 문화가 우리 일상과 어떻게 만나는지가 이번 사안의 핵심"이라고 진단했다.

    같은 학교 서양사학과 최갑수 교수는 "관건은 이렇게 발달한 AI 기술을 '누가 관리하고 통제하는가'이다"라며 "인류는 소수에 의해 독점된 기술과 자본이 낳은 폐해를 이미 목격해왔다"고 분석했다.

    소수 권력자에 의해 독점된 기술은 인류사회에 독이 될 수 있는 반면 민주적 통제가 가능하다면 인류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최 교수는 "모든 정보가 전문가와 함께 공유돼야 하고, 궁극적으로 기술의 사용 방식과 범위는 국민들의 손으로 직접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AI를 둘러싼 사회적 합의를 위한 공론화 과정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병훈 교수는 "공상소설이나 영화에서나 경험할 수 있었던 AI가 실제로 체감되면서 충격과 공포가 퍼지고 있다"며 "인류가 공론화를 통해 꼼꼼히 준비하지 않으면, 공포와 두려움은 현실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서울대 철학과 강진호 교수는 널리 퍼지고 있는 'AI 포비아'에 대해 "놀랄만할 일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강 교수는 "1997년 IBM이 개발한 '딥블루'(체스 슈퍼컴퓨터)가 체스 세계챔피언 게리 카스파로프를 꺾었을 때도 AI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졌지만, 아직까지 AI의 발전 수준은 미미한 상태"라며 "공론화 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세기의 대결'이 남긴 교훈과 메시지는 다소 상이하게 분석됐지만, AI와 인간에 대한 근본적 질문이 던져졌다는 점에서 향후 도래할 AI시대 준비의 초석이 마련됐다는 평가에는 이견이 없어 보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