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총선을 11일 남겨둔 2일 서울대에서는 총학생회 주최로 관악갑에 출마한 여야 후보들을 초청해 청년 문제를 토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20대 총선 청년문제 지역구 후보자 토론회-청년이 묻고 후보자가 답하다'라는 이날 자리에서는 청년수당을 놓고 새누리당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민중연합당 등 야당 후보들이 설전을 벌였다.
원영섭(38) 새누리당 후보는 "백수생활로 놀고 있을 때 돈을 주겠다는 것으로 전형적인 포퓰리즘이라고 생각한다"며 청년에게 직접 수당을 지급하는 야당의 '청년수당' 공약을 비판했다.
그는 청년에게 직접 수당을 줄 게 아니라 청년을 고용하는 사업주에게 인건비의 최대 절반을 지원하는 '청년고용수당'을 제안하면서 경험이 없어 청년이 취업을 못 하는 악순환을 깰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역 의원인 유기홍(57)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취업한 청년의 고용주가 아니라 구직하는 청년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놀고 있을 때 돈 받는다'는 표현은 사과가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이동영(44) 정의당 후보도 "무상보육 등 여당이 하는 보편적 복지는 투자라고 하고 청년수당 등 야당이 하는 보편적 복지는 포퓰리즘이라고 하는 것은 자기모순"이라고 말했다.
원 후보가 "구직활동은 학업의 연장이므로 구직활동비를 주는 것보다는 그 재원을 반값등록금에 집중하는 편이 낫다"고 답하자 유 후보는 "반값등록금과 달리 청년 취업활동비는 일자리 창출 차원의 예산이라 별개의 문제"라고 반박했다.
김성식(57) 국민의당 후보는 대기업·공기업 등 선호 일자리가 한해 5만 개에 불과한데 구직 청년은 매년 75만 명이나 돼 청년실업 문제가 불거졌다며 대기업이 성과·이익을 공유하도록 해 대·중소기업 격차를 줄이겠다는 공약을 내놓았다.
자신을 '청년후보'라고 소개한 연시영(26) 민중연합당 후보는 '반값등록금을 실현했다'는 정부·여당 발표를 비판하면서 정부의 교육재정 지원을 국내총생산(GDP)의 1%로 확대하면 등록금을 최대 100만원까지 낮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원 후보는 "반값등록금 문제에 저희 당이 미흡한 부분이 분명히 있다"고 말하면서 "앞으로 대학 구조조정을 하고 학내유보금을 쓸 수 있도록 하면 반값등록금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유 후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고등교육 지원이 한국처럼 부족한 나라가 없다고 언급하면서 반값등록금을 실현하려면 교육재정교부금을 지원해야 하는데 19대 국회에서 새누리당의 반대로 법안이 통과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가정의 한 달 가처분 소득(2014년 기준)인 350만원을 대학 표준등록금으로 하는 정의당의 공약을 소개했다.
청중으로 참여한 한 서울대 재학생이 "선거 때만 청년을 위한다 하고 선거가 끝나면 사라지는 것 아니냐"고 꼬집자 후보들은 "내가 청년후보"라거나 "청년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이 우리 정당"이라며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