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GDP(국민총생산)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며 "빅데이터 활용 등을 통해 GDP 통계 추정방법을 개선하고, 생활수준을 보다 잘 나타낼 수 있는 지표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25일 오전 서울시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어제 KDI가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하는 것을 보고 GDP 0.1∼0.2%포인트 차이가 정말 중요한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 보았는데, GDP가 일국의 경제규모, 성장속도 또는 물질적 번영의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지만 근래에 제품, 즉 품질 차별화가 가능한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지고 디지털 경제가 확대되면서 GDP 신뢰성이 점차 낮아지는 것 같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최근 특집 기사를 인용하며 "현재 학원에 가지 않고 유튜브를 통해 무료 강좌를 들으면 효용성은 더 높아질 수 있지만 GDP 통계는 감소하고, 인터넷뱅킹이라든가 홈쇼핑 같은 것들이 일반화되면서 효용성은 높아지는데 관련투자는 줄어들어 GDP가 오히려 낮아지는 한계가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프랑스 정부는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스티글리츠 교수를 중심으로 GDP의 대안을 찾는 위원회를 지난 2008년에 구성해 연구를 해 왔고, 이를 통해 이제는 양보다 질적으로의 변화, 그 다음에 환경의 중요성을 반영해야한다 등 여러 가지 제안을 내 놓은 것이 있다"고 소개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GDP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은 더 커질 것"이라며 "한국은행이 GDP통계를 편제하고 있으니까, 앞으로 GDP통계의 한계점도 보완하고 효용성, 그 다음에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해서 이를 지시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장,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 김영배 한국경영자총협회 상임부회장, 이동근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전성인 홍익대학교 교수, 최강식 연세대학교 교수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