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전문가 "한반도에 규모 7.0 대지진 대비해야"

사건/사고

    전문가 "한반도에 규모 7.0 대지진 대비해야"

    • 2016-07-06 00:11

    원전 부근 지진 빈발…활성단층지도·내진설계 등 장기계획도"규모 5.0 특이현상 아니고 대형 지진 가능성 낮다" 반론도

     

    5일 밤 울산 동쪽 52㎞ 해상에서 규모 5.0 지진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대지진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반도가 더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규모 7.0 정도의 지진까지 염두에 두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지질학적 데이터로 보면 한반도에 약 400년마다 규모 7 정도의 큰 지진이 발생했다"며 "조선왕조실록에는 17세기 인조 때 우리나라에 규모 7 지진이 있었다고 돼 있다"고 전했다.

    손 교수는 "대략 400년의 대지진 주기로 본다면 한반도에서 울산 해상의 중급 지진을 넘어서는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지질학계의 대체적인 진단"이라며 "779년 경주에서도 큰 지진이 발생해 100명 이상이 숨졌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지진 발생 지역은 일본에서 한반도 쪽으로 점차 이동하는 추세라는 설명도 했다.

    손 교수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최근 구마모토 지진까지 진앙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며 "울산 지진은 대한해협에서 동해까지 이어지는 쓰시마 고토 단층의 영향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지진에 거의 무방비 상태여서 규모 7 수준의 지진이 오면 대재앙이 발생할 것이라는 경고도 했다.

    도심 건물 내진 설계 비율은 부산 25.6%, 서울 27%로 지진에 취약하고 5층 이하 건물은 사실상 무방비 상태다.

    산비탈에 아파트가 많은 부산은 큰 지진이 오면 산사태 등으로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

    손 교수는 "국민안전처가 최근 국내 활성단층 지도를 만드는 기획과제에 착수했는데 최소 20∼30년은 지나야 완성된다"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활성단층 지도가 없는 국가는 몇 안 되는데 장기계획을 가지고 지진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부가 장기 지진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강태섭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조선 시대에 울산 앞바다, 2004년 울진 앞바다 등에서 이번과 비슷한 규모 5.0 정도의 지진이 발생했다"며 "문제는 지진이 빈발한 곳이 부산, 울산 등 원전이 밀집해있고 인구가 많은 대도시 인근이라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지진이 원전 등 중요시설에 타격을 준다면 자연재해 이상의 큰 재앙이 될 수 있다"며 "부산, 울산 지진을 모니터링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진이 났을 때만 반짝 관심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일관되고 장기적인 지진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반도 대지진 가능성을 반박하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센터장은 "울산 앞바다 지진은 주향 이동단층에 의한 것으로 그 지역에는 본래 단층이 있어 영향을 받은 것"이라며 "과거에도 지진이 발생했던 지역이기에 특이현상은 아닌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주향 이동 단층은 상하 방향으로 약간 비스듬하게 뻗어있는데, 단층 가운데 일부가 축적된 힘을 방출하면서 단층 상반과 하반이 갑자기 수평으로 어긋나면서 지진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지 센터장은 "부산에서 포항에 이르는 양산단층대와 평행하게 이어진 단층일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번 지진으로 한반도가 지진 위험지대라고 볼 수는 없다"고 대지진 가능성을 일축했다.

    한반도는 이른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지진대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이다.

    지 센터장은 "국내에서 규모 5.5 이하 지진은 얼마든지 날 수 있지만, 대형 지진은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로 본다"면서 "다만 지진 발생 이유는 국내에 축적된 지진 데이터가 적어서 분석이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