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안중근 의사 순국지를 잘못 언급하는 '실수'를 범했다. 또 지난해에 이어 광복절을 '건국의 날'로 규정하고, 대일 과거사 언급을 배제하는 등 이번 경축사에서 역사관 논란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박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광복의 역사를 만들고, 오늘날의 번영을 이룬 것은 결코 우연히 된 것이 아니었다"며 "안중근 의사께서는 차디찬 하얼빈의 감옥에서 '천국에 가서도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라는 유언을 남기셨다"고 경축식장을 메운 수백명 청중 앞에서 연설했다.
하지만 안 의사 순국지는 하얼빈이 아니라 뤼순에 있는 감옥이었다. 안 의사는 1909년 10월26일 오전 하얼빈 기차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러시아 헌병에 체포된 뒤 일제에 신병이 인도되면서 곧바로 일제가 관할하던 뤼순으로 압송당했다. 일제는 이듬해 3월26일 사형을 집행하고 안 의사를 뤼순 감옥 인근에 매장했다.
이런 가운데 예년과 달리 올해 경축사에서는 위안부 문제 등 일본의 과거사 관련 언급이 배제됐다. "한·일 관계도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새롭게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는 원론적 한마디에 그쳤다.
지난해 말 양국 위안부 합의를 감안한 행보로 보이지만, 일본이 위안부 지원재단 출연금 문제나 대사관 소녀상 이전 문제 등에서 자국 입장을 고집하는 등 불성실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은 간과됐다. 동북아 안보를 위협하는 일본의 우경화나 군국주의 회귀 시도에 대한 경고 없이, 북핵과 사드(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만 강조됐다.
박 대통령은 또 "오늘은 제71주년 광복절이자 건국 68주년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언급했다. 지난해 경축사 때 "오늘은 광복 70주년이자 건국 67주년을 맞는 역사적인 날"이라던 언급에 이어 2년째 '건국 기념일'을 고집했다.
이는 뉴라이트 성향의 우익인사들이 주창하고 있는 '건국절'(1948년 8월15일) 주장에 힘을 싣는 셈이어서 학술적·정치적 논란이 불가피하다. 3일전 청와대 오찬에서 "건국절 주장은 역사를 외면하는 처사 뿐 아니라 헌법에 위배된다. 대한민국은 1919년 4월11일 중국 상하이에서 탄생했다"던 92세 광복군 노병의 건의는 묵살됐다.
앞서 박 대통령 취임 첫해인 2013년 광복절 경축사 때도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박 대통령은 당시 일본의 과거사 문제를 거론하면서 "고려 말의 대학자 이암 선생은 '나라는 인간에 있어 몸과 같고, 역사는 혼과 같다'고 하셨다"는 주장을 했다. 그러나 이암은 대학자가 아니라, '위서'(僞書) 논란이 불거진 사서 '환단고기'에 인용됐을 뿐이라는 학계 비판이 있었다.
'역사는 혼'이라는 취지의 언급은 박 대통령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강행 때 재차 활용됐다. 지난해 11월10일 국무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자기 나라 역사를 모르면 혼이 없는 인간이 되는 것이고, 바르게 역사를 배우지 못하면 혼이 비정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발언했다.
민족문제연구소 방학진 사무국장은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는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다. 그런데 아주 기본적인 사실을 놓친 것은 대통령 뿐 아니라 행사를 준비한 관료·참모들의 안이한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광복군이신 김영관 선생님이 청와대 오찬에서 어찌보면 인생의 마지막 부탁일지 모르는 '건국절 재고' 건의를 했는데도, 이에 아랑곳 않고 건국절을 지지하는 역사인식을 보인 것은 큰 문제"라며 "객관적 사실관계를 틀릴 바에는 현 집권세력이 역사에 대해 함구하는 게 자라라는 청소년에게 더 도움이 될 것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