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자료사진)
지난해 3월 충남 홍성 돼지농장을 끝으로 잠잠했던 구제역이 충북 보은 젖소농장에서 또다시 발생했다.
구제역이 2014년 이후 해마다 반복해 발생하면서 정부가 백신 접종을 강화하는 등 방역 체계 개편안을 마련했지만 결국 방역에 실패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 충북 보은 젖소농장… O형 구제역 확진농림축산식품부는 5일 충북 보은군 젖소 사육농장에서 신고된 구제역 의심축에 대해 정밀검사한 결과 혈청형 O형의 구제역으로 확진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 구제역은 지난해 3월 29일 충남 홍성군에서 발생 이후 11개월여 만에 재발생한 것으로, 혈청형 O형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백신 유형(소: O형+A형, 돼지: O형)에 포함돼 있다.
해당 농장은 195마리의 젖소를 사육하는 농가로, 5마리의 젖소 유두에서 수포가 형성되는 등 구제역 임상증상이 있어 농장주가 충북 보은군청에 신고했다.
농식품부는 초동방역팀과 역학조사팀, 중앙기동방역기구를 투입하는 등 긴급 방역조치를 취했으며, 발생농장 반경 3㎞ 이내 99개 농장의 소와 돼지 1만여 마리에 대해선 이동을 제한했다.
또한, 발생농장이 사육중이던 젖소 195마리를 모두 살처분 완료하고, 6일 중으로 매몰 처리할 예정이다.
구제역 차단방역 (사진=자료사진)
◇ 2014년 이후 반복 발생… 정부 2015년에 방역체계 개선방안 마련, 속수무책우리나라는 지난 2010년 전국에 걸쳐 구제역이 창궐하면서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이후 4년만인 지난 2014년 7월 경북 의성군 돼지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8월 6일까지 경상남.북도 3개 농장이 피해를 입었으며, 4개월 동안 소강상태를 보이다 12월에 충북 진천 돼지농장에서 겨울철 구제역이 발생했다.
이 구제역은 이듬해인 2015년 4월까지 전국을 휩쓸었다. 이 당시 국내에서도 모든 소와 돼지에 대해 백신접종이 이뤄지고 있었으나, 항체 형성률이 50% 이하로 떨어지면서 '물백신' 논란이 빚어졌다.
결국 정부는 2015년 7월 구제역 방역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해 발표했다. 구제역 발생에 따른 전국 확산을 막기 위해 권역별 방역관리 제도를 도입하는 게 골자였다.
전국을 가축 사육밀도와 행정구역, 지리적 여건, 도축장 등을 고려해 지역 단위로 권역화 하고, 구제역이 발생하면 가축이동과 도축, 사료 공급 등이 권역내에서 이뤄지도록
산업구조를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축산 농가의 책임성을 높이기 위해 방역관리 우수 농가에 대해선 인센티브를 제공하지만 소독시설을 설치하지 않았거나 백신접종을 위반한 농가에 대해선 과태료를 현행 500만원 이하에서 1,000만원 이하로 대폭 늘리기로 했다.
또한, 계열화 사업자는 앞으로 자체 방역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소속 계열농가 전담자를 지정해 정기 예찰과 교육을 확대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개선 방안에도 불구하고 2016년 1월에 또다시 구제역이 발생해 3월까지 이어진데 이어, 이번에 10개월만에 충북 보은 젖소농장에서 어김없이 구제역이 재발생했다.
이와 관련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보은 젖소 농장이 백신접종을 제대로 실시했는 지 여부에 대해서도 조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지난해 10월부터 구제역 특별방역대책기간(~2017년 5월)을 운영하면서 백신 항체 형성률이 소는 97.5%, 돼지는 75.7%로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며 "현 상황에서 볼 때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