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봐야한다는 움직임에 대해 관련 업계에서 "근거와 기준이 모호한데다 게임 산업의 근간이 흔들릴 것"이라며 상당한 우려를 표했다.
28일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강남구 롯데엑셀러레이터에서 'ICD-11 게임질병코드 등재,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를 열고 WHO가 오는 5월 국제질병분류 제11개정판(ICD-11)에 게임장애 질병 등재를 예고한 것에 대해 "비과학적이고 게임 산업 전반에 돌이킬 수 없는 악영향이 크다"고 한 목소리로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강경식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본부장,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장, 이장주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장,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게임의 질병화 시도가 미치는 여파 문제로 정부 기관(콘텐츠진흥원), 국회, 게임업계와 의학계 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토론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WHO의 게임 장애 질병 등재는 그동안 기준이 모호해 보다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알려진 게임 중독을 정식 질병으로 인정하겠다는 것이다. ICD는 WHO가 발간하고 잇는 인간의 모든 질병과 사망에 대한 표준 분류법을 가리킨다.
그러나 WHO의 움직임과는 달리, 이날 토론회에서는 여전히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보기에는 근거와 기준이 애매하다는 목소리가 컸다.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WHO의 진단기준은 중독의 핵심적인 증상인 갈망, 내성, 금단증상 등을 제거하고 일상생활 방해를 중독처럼 치부한다"며 " "의학적으로 공존질환과 구분, 종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ICD-11 초안은 게임장애를 '다른 일상생활보다 게임을 우선시해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하더라도 게임을 지속하거나 확대하는 게임 행위의 패턴'으로 정의하고 있어 지나치게 포괄적인 구분이라는 지적이다.
또 게임은 알콜, 마약같은 다른 물질중독과 다르게 우울증, ADHD 등 공존질환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아 게임 중독 자체를 질환으로 보기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고 한 교수는 덧붙였다.
특히, 이는 게임산업에 돌이키기 힘든 타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섞인 의견이 쏟아졌다.
강신철 게임산업협회장은 "게임은 해외 수출액이 5조를 상회하는 대표 문화콘텐츠 산업"이라며 "게임 장애가 질병코드화된다면 게임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심각해지고 해외 수출, 인재 영입에서 심각한 차질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게임은 창의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산업인데 종사자들도 심각한 혼란과 자괴감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경석 콘텐츠진흥원 본부장 역시 "의학적, 사회적으로 합의되지 않은 문제를 질병화하는 것은 게임산업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중요한 문제"라며 "청소년과 관한 문제인만큼 교육부에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는 국내 회원사들의 목소리를 모으고 게임장애 질병화가 타당성이 없는 주관적인 시도라는 점에 대해 해외 관련 협회 및 단체 20여곳과 공동 대응을 모색중이다.
조승래 의원은 "다음 달 국회에서 관련 포럼을 열고 보건복지부와 문체부가 함께 게임이 미치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해 공동연구를 제안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