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CBS라디오 <김덕기의 아침뉴스="">
■ 채널 : 표준 FM 98.1 (07:00~07:30)
■ 진행 : 김덕기 앵커
■ 코너 : 김수영 기자의 <왓츠뉴(what's new)="">
◇ 김덕기 > 새로운 IT 트랜트를 읽는 '김수영의 왓츠뉴' 시간입니다. 산업부 김수영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오세요. (안녕하세요) 김 기자, 오늘은 어떤 이야기를 갖고 오셨나요.
◆ 김수영 > 네이버가 최근 식당으로 전화를 건 고객을 응대하는 인공지능(AI) 서비스인 'AI Call'을 공개했는데요. 국내외 많은 기술기업들이 앞다퉈 이런 음성인식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현재 음성인식 기술이 어느정도 수준에 도달해 있고, 기술기업들이 왜 음성인식 기술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지를 알아봤습니다.
◇ 김덕기 > 고객이 식당에 전화를 걸면 식당 직원이 아니라 AI가 전화를 받고 응대한다는 거죠? (네 그렇죠) 사람이 아니라 기계가 전화를 받는다고 하면 어색하지 않나요?
◆ 김수영 > 저도 '어색할 것 같다'고 예상했는데요. AI의 고객 응대실력 들어보시고 좀 더 이야기 나눠보시죠.
##네이버 시연 동영상
고객: 내일 저녁 7시에 가려고 하는데
AI call: 제가 방금 말을 잘 못들어서 다시 한번 말씀해주시겠어요?
제가 내일 저녁 7시에 가려고 하는데 가능한가요?
AI call: 혹시 몇분이서 오시나요?
고객: 4명이요
AI Call: 잠...시만요. 내일 저녁 7시에 예약 가능하세요. 이렇게 예약해 드릴까요? ◇ 김덕기 > '말을 잘 못 들었는데 다시 한 번 말해달라'고 말한 것도 '잠…시만요'라며 시간을 끈 것도 모두 AI인거죠? AI라고 말하지 않으면 통화상대가 AI라고 생각하지 못하겠는데요.
◆ 김수영 > 저도 이런 시연을 보기 전까지 큰 기대가 없었는데요. 시연을 본 뒤에 '음성인식기술이 이 정도로 발전했구나'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지난해 5월, 구글의 연례행사 중 가장 큰 행사인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AI서비스인 '듀플렉스(Duplex)'가 공개됐을 때도 큰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요. AI Call이 걸려온 전화를 받아 응대하는 서비스라면 듀플렉스는 AI가 전화를 걸어 식당이나 미용실 예약 등을 하는 서비스예요.
##구글 시연 동영상
점원: Hello, how can I help you?
Duplex: Hi, I'm callimg to book a women's haircut for s client. Um...I'm looking for something on May 3rd
점원: Sure, give me one second
Duplex: Mm-hmm.듀플렉스가 미용실 예약을 하기 위해 전화를 걸었는데 점원이 '잠시 기다려달라'고 하자 듀플렉스가 추임새를 넣어서 시연을 지켜보던 사람들이 웃음을 터트리는 장면이고요.
음성인식기술은 구글과 네이버, 카카오 등에서 쉽게 경험해보실 수 있는데요. 네이버는 검색내용을 읽어주지 않으니 카카오를 이용해볼께요.
'헤이 카카오, 김덕기 아나운서가 누구야?' "김덕기 아나운서는 CBS의 아나운서입니다"◇ 김덕기 > 신기하네요. 요즘 음성으로 간단한 검색을 하거나 음악을 재생해주는 AI스피커도 많이 사용하는걸 보면 음성인식기술이 생활 깊숙히 들어와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그런데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를 통해하던 일을 말로 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나요?
◆ 김수영 > 음성인식기술은 기계와 인간의 소통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보급 이상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거든요.
◇ 김덕기 > 스마트폰급의 파급효과요.
◆ 김수영 > 네. 일단 음성인식기술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 기존 기계와 소통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께 진입장벽을 크게 낮춰주거든요.
자료=SK텔레콤 제공
한 예로 지난 7월 SK텔레콤이 독거어르신 1150명의 AI스피커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것을 보면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없는 독거 어르신들이 AI스피커에 사용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어요. 음성인식기술이 기술 사용자의 저변을 더 확대하는 거예요. SK텔레콤 이준호 SV 추진그룹장입니다.
"노인들은 잘 못쓸꺼다. 발음이 불확실해서 인공지능이 잘 못 알아들을 것이라는 그런 걱정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잘 쓰십니다. 아주 다양하게 노래, 날씨, 감성대화, 각종 스피커를 잘 쓰시는"이미 음성인식기술은 스마트폰과의 경쟁에 돌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미국 컨설팅 기업인 에센츄어(Accenture)가 지난해 발표한 설문조사를 보면 스마트스피커 소유자의 66%가 스마트폰 사용량이 줄었다고 했거든요. 음악뿐 아니라 정보검색과 온라인구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
지금도 음성인식기술이 적용된 스마트스피커가 스마트폰을 일정 부분 대체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음성인식기술이 더 안정되고,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기기보급이 늘어난다면 음성인식기술의 파급력은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삼성전자가 베타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AI스피커 '갤럭시 홈 미니'(사진=삼성전자 홈페이지 캡쳐)
◇ 김덕기 > 최근 삼성이 '갤럭시 홈 미니' 베타테스터를 모집했다는 소식이 있던데 이런 음성인식기술의 잠재력을 감안한 조치라고 봐야겠군요.
◆ 김수영 > 그렇죠.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고 이 테스트 결과를 보고 출시 계획을 확정할 것"이라며 "아직 출시 계획은 미정"이라고 했는데, 업계에서는 삼성이 갤럭시 홈 미니를 출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어요.
삼성이 지난해 언팩 행사와 11월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갤럭시 홈을 선보인 적이 있고, 올해 상반기 이미 국내외 기관으로부터 블루투스 인증과 전파 인증 등 절차를 마쳤거든요.
◇ 김덕기 > 그런데 다른 기술개발도 그렇지만 음성인식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할텐데요. 애플이 최근 아이폰 음성인식 서비스 '시리(Siri)' 사용자 음성파일을 불법 청취해서 사과했고, 네이버도 '클로바' 이용자 음성을 녹음했다고 하고요.
◆ 김수영 > 지적하신대로 AI기술은 대량의 데이터를 기계가 분석해서 기술을 고도화하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이 필수적이고, 음성데이터 수집없이 기술기업들이 음성인식기술을 개발하는건 사실상 불가능하거든요. 그래서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기술 고도화에 나서는 것이 중요한데요.
(사진=네이버 공식블로그 캡쳐)
클로버 이용자 음성 수집 논란과 관련해 네이버는 일단 누가 어떤 음성명령을 내렸는지 고리를 끊어 '비식별' 처리한 음성데이터 중 1%만을 7일 동안 사용하고 폐기하다고 해명하고 있거든요. 앞으로 이용자들이 음성 명령어의 저장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기능도 준비하고 있다고 하고요.
결국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하면서 기술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음성인식기술이 제대로 정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김덕기 > 여기까지 듣겠습니다.왓츠뉴(what's>김덕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