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연습생 펭수(왼쪽)와 방송인 장성규(사진=황진환·박종민 기자)
권위로 여겨져 온 금기를 깨는 말과 행동으로 주목받는 EBS 연습생 펭수와 방송인 장성규가 청년층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고 있다. 대리만족을 주는 대중문화 역할을 오롯이 충족시키는 덕이란 진단이 나온다.
문화평론가 김교석은 18일 CBS노컷뉴스에 "(펭수와 장성규의) 공통분모는 기존 방송 울타리, 금기를 무겁지 않게 깬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펭수에 대해 그는 "교육방송인 EBS에서 '연습생' 캐릭터를 내놓고, 그 캐릭터가 유튜브와 예능에서 활약한다는 것 자체가 기존 EBS의 정체성과 문법을 뒤집는 맥락"이라고 했다.
이어 "장성규 씨도 아나운서 출신으로 방송가에서는 규범을 엄격하게 지켜야 할 직업군임에도, '선을 넘는다'는 콘셉트가 생기고 유튜브로 그것을 강화시킨, 맥락 파괴에서 오는 재미가 크다"고 봤다.
문화평론가 하재근 역시 같은 날 "(펭수와 장성규) 둘 다 웃음으로 암묵적인 금기 같은 것들을 뛰어넘는 데서 주는 후련함이 있다"며 "그러한 후련한 정서에 기반한 대리만족에 인기 요인이 있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무엇보다 녹록지 않은 한국 사회에 대한 우리네 현실 인식이 두 인물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있다고 두 평론가는 입을 모았다.
김교석은 "두 캐릭터의 공통점을 찾자면 속시원한 멘트를 한다는 데 있는데, 이 점에서 짧은 시간 안에 답을 내놓는 유튜브 정서와도 잘 맞는다"며 "이들 멘트는 우리가 보통 사회 생활을 하면서는 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숨통을 틔우는 풍자의 한 장르로 다가온다"고 설명했다.
하재근은 "대중문화 자체가 대리만족에 뿌리를 뒀다는 점에서, 현실에서는 그렇게 하기가 쉽지 않으니까 (펭수나 장성규가) 수위 높은 멘트를 할수록 대리만족도 커지는 셈"이라며 "현실에서는 윗사람에게 말과 행동을 조심해야 하고, 눈치도 봐야 하는 그러한 억압이 있기 마련인데, 그런 선을 깨는 캐릭터에 우리는 대리만족을 느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