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브 스루(Drive Thru)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별진료소 (사진=박종민 기자)
우리나라의 뛰어난 ICT(정보통신기술)가 코로나19 사태에서 진가를 톡톡히 발휘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코로나19 대응에 ICT 기술이 적용된 사례를 공개했다.
ICT는 먼저 확산상황·대응정보 제공, 환자 진단·선별, 치료제 발굴·개발 등에 활용되고 있다.
한국공간정보통신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확진자의 동선·선별 진료소·신천지 시설 정보 등을 포함한 종합상황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의 인공지능(AI) 플랫폼인 '클로바'는 경기도 성남시의 코로나 능동 감시자에게 하루에 2번씩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발열·호흡기 증상 등을 확인하는 AI 기반 음성봇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담 결과를 보건소 직원에게 이메일로 전달하고 있다.
ICT 기업 와이즈넛은 코로나19 예방과 올바른 대처방안을 알려주기 위한 공익 챗봇 서비스 시행한다.
AI 활용으로 진단 키트 개발과 엑스레이(X-ray) 판독 시간도 대폭 단축됐다.
코로나19 시약 생산업체 씨젠은 AI를 진단 키트 개발 과정에 활용, 개발 기간을 2주 내외로 단축했다.
AI 의료솔루션 개발업체 뷰노는 환자의 X-ray 영상을 3초 이내에 판독해 중증 환자를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는 의료영상 판독 AI를 홍천군 보건소에 설치했다. 이 기술은 대구 일부 병원에서도 활용하고 있다.
AI 기반의 의료분석 업체인 JLK 인스펙션 역시 AI를 활용해 수초 안에 X-ray를 판독, 확진자의 폐 질환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을 개발해 의료현장에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디어젠은 AI 분석을 통해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치료제가 코로나19에도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고, 아론티어도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AI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KT,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 NHN, 코스콤 등 클라우드 기업은 민간 38개 개발팀에 코로나19 관련 공적 마스크 판매정보를 알려주는 앱과 웹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 등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도 코로나19 대응에 참여하는 기업을 위한 신속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컴퓨팅 자원과 데이터 바우처, 재택근무에 필요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우선 지원하고, 국토교통부, 질병관리본부 등과 협력해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을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코로나19 대응 관련 AI 알고리즘이나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관이나 기업에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우선해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달 1차 신청을 받았고, 800여개 기관에 대해 9일부터 지원을 시작했다. 16일부터 코로나19 관련 AI 개발을 위한 기관이 추가로 신청하면 3일 이내 심사를 완료한 뒤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감염병 예방·진단·관리·치료 등과 관련한 데이터를 구매하거나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바우처를 통해 지원하는 바우처 사업도 한다.
이달 말부터 재택근무로 인한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협업이나 화상회의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고, 30% 상당의 기존의 기업부담금도 없애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