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이스타항공 여객기(사진=연합뉴스)
제주항공이 지난 3월 이스타항공의 체불 임금 문제를 제주항공 측에서 해소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이 공개됐다. 앞서 이스타항공은 제주항공이 '셧다운'을 요구한데 이어 희망퇴직 규모도 사전에 산정해 제시했다는 증거를 공개했다.
셧다운 이후 이스타항공 직원의 체불 임금 해소를 두고 양측의 책임 공방이 치열한 가운데, 제주항공 전 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양사 M&A에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동조합은 6일 지난 3월 20일 제주항공 이석주 전 대표(이석주 AK홀딩스 대표)와 이스타항공 최종구 대표와의 통화내용을 공개했다.
통화 내용에 따르면 이석주 당시 제주항공 대표는 "국내선은 가능한 운항해야 하지 않겠나"는 최 대표에게 "셧다운을 하고 희망퇴직을 들어가야 한다. 그게 관(官)으로 가도 유리하다"고 말했다.
이어 최 대표가 "희망 퇴직자에게는 체불임금을 주지만 나머지 직원은 제주항공이 줘야 하지 않겠나. 직원들이 걱정이 많다"고 우려하자 이 대표는 "딜 클로징(종료)을 빨리 끝내자. 그러면 그거는 '저희가 할거에요'"라고 답했다.
이 전 대표는 "딜클로징으로 미지급 한 것 중에 젤 우선 순위는 임금이죠. 그건 제가 사장님께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이죠"라고 덧붙였다.
애경 본사 앞에서 제주항공 규탄하는 이스타 조종사 노조(사진=연합뉴스)
협력업체 미지급금에 대해서도 이석주 전 대표는 "제 명의로 법에 저촉되지 않는 수준으로 협조해달라는 레터를 보냈다. 이제 제주항공이 최대주주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으니, 협조해달라는 레터를 보냈다"고 답했다.
노조는 "양해각서(MOU) 체결 후 구조조정을 지시해왔고 '코로나19로 인한 책임은 계약과 무관하다'는 내용을 계약서에 담고도 3월 이후 발생한 부채를 이스타항공이 갚으라는 것은 날강도와 다름없다"면서 "제주항공의 이익을 위해 이스타항공을 희생해 자력 회생할 수 있는 기회를 아예 박탈했다"고 비난했다.
한편, 이날 오전에 예정된 이스타항공의 임시 주주총회가 또다시 무산됐다.
이스타항공은 앞서 제주항공에 대한 '압박용'으로 신규 이사·감사 선임안을 상정하기 위한 임시 주총을 지난달 26일 열었으나 제주항공이 후보 명단을 주지 않아 무산되자 이날로 주총을 연기한 바 있다. 주주총회는 안건 상정이 이뤄지지 못한 채 이달 23일로 재차 연기됐다.
이런 가운데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조는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의 '셧다운'을 지시한 데 이어 희망퇴직 규모도 사전에 산정해 이스타항공 측에 제시한 증거도 공개했다.
노조가 공개한 문서에 따르면 운항 승무직 90명(기장 33명, 부기장 36명, 수습 부기장 21명)과 객실 승무직 109명, 정비직 17명, 일반직 189명 등 직군별 희망퇴직 규모와 보상액이 상세히 적혀 있다. 총 405명에게 총 52억5천만원을 보상하는 방안이다.
또 다른 문서인 3월9일 양사 경영진 간담회 회의록에는 제주항공이 기재 축소(4대)에 따른 직원 구조조정을 요구했고, 이스타항공이 구조조정에 대한 자구 계획은 있으나 급여 체납으로 인해 시행 시점이 늦어지고 있음을 전달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여기에는 제주항공이 추가 대여금 50억원을 지급할 때에는 구조조정 관련 인건비로만 집행할 계획이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스타항공 박이삼 노조위원장이 6일 오전 강서구 이스타항공에서 신규 이사, 감사 선임을 위해 열린 임시 주주총회장 앞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박이삼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위원장은 "결국 제주항공의 지시에 따라 희망퇴직 인원과 보상액을 50억원에 맞춘 것"이라며 "4월에 구조조정을 전체 직원의 45%로 정했다가 이를 다시 절반으로 줄이며 고통 분담을 운운했지만 이미 계획이 정해져 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제주항공 측은 셧다운 지시 등에 대해 7일 이후 공식 입장을 밝히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