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3일 청와대에서 군 장성 진급 및 보직 신고식에 참석하는 모습. 왼쪽은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 문 대통령 뒤에는 서훈 국가안보실장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오전 북한이 실종자를 사살했다는 첩보를 보고 받은 뒤에도 군 장성 진급 및 보직 신고식에서 평화를 언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청와대의 설명을 종합하면, 문 대통령은 23일 오전 8시 30분 노영민 비서실장과 서훈 안보실장으로부터 총격 피살 첩보를 보고받았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정확한 사실을 파악하고 북에도 확인하라. 만약 첩보가 사실로 밝혀지면 국민이 분노할 일"이라며 "사실관계를 파악해서 있는 그대로 국민에게 알려라"라고 지시했다.
2시간 뒤 문 대통령은 군 장성 진급 및 보직 신고식에 참석했다. 국방부 장관과 합동참모장 등 전군 최고위 참모들이 모인 자리였다.
문 대통령은 신고식에서 "평화의 시대는 일직선으로 곧장 나 있는 길이 아니다"라며 "진전이 있다가 때로는 후퇴도 있고, 때로는 멈추기도 하고, 때로는 길이 막힌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럴 때 국방력은 전쟁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안전판 역할을 해야 한다"고 평화를 언급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우리 군이 그 역할을 잘해 주셨다"며 군을 칭찬하기도 했다. 북한 측이 우리 국민을 총격 사살한 첩보를 보고 받은 뒤에도 평화를 위한 군의 역할을 강조하고, 칭찬한 모양새다.
문 대통령은 24일 오전 9시 안보실장과 비서실장으로부터 국방부의 최종 보고를 받았다. 우리 국민이 피살되고, 시신까지 훼손됐다는 첩보를 확정된 사실로 보고받은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후 경기 김포시 민간 온라인 공연장인 캠프원에서 열린 디지털뉴딜문화콘텐츠산업 전략보고회에서 연설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그런데도 문 대통령은 오후 2시에 경기 김포의 디지털 뉴딜 현장을 방문하는 등 일정을 정상적으로 소화했다.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간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운 대목들이다.
청와대 또한 이번 사건에 대해 24일 국가안정보장회의(NSC) 상임위를 긴급 소집하고, 강력 규탄 성명을 냈지만 브리핑 과정 곳곳에서 소극적인 인식이 드러나기도 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번 사건에 대해 설명하면서 곳곳에서 시신훼손에 대해 '화장'이라거나 반인륜적 행위에 대해 '사고'라고 표현했다.
화장은 '시체를 불에 살라 장사 지낸다'는 뜻이다. 이때문에 무장하지 않은 국민을 총격 사살하고, 불을 질러 시신을 훼손한 만행을 화장으로 표현한 것은 부절적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청와대는 논란이 일자 "'화장'이라고 표현한 부분은 NSC 상임위 성명에서 발표한 '시신을 훼손한 것'"이라며 "'사고'라고 표현한 부분은 첩보 초기 실족사고로 보고가 들어온 부분을 말한 것이며 성명에 나오듯이 이는 '반인륜적 행위'로 규정 함을 다시 한번 알려드린다"고 정정했다.
청와대는 또 "이번 사안이 9.19 군사합의의 세부 항목을 위반한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도 냈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인 서주석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이 24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연평도 실종 공무원 피격 사망 관련 브리핑을 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서주석 NSC 사무처장은 다만 "접경지역에서 군사적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을 위한 9.19 군사합의의 정신을 훼손한 것은 맞다"며 "그래서 오늘, 북한의 행위에 대해 정부 성명으로 규탄하고 진상규명을 요구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23일 새벽 '종전선언'을 언급한 유엔 연설과 관련해 북한과의 대화와 종전선언 의지가 사건 발생 이후인 지금도 유효하다는 신중한 입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사고가 있었지만 남북관계는 지속되고 앞으로 견지돼야 하는 관계"라고 말했다.
대화 의지가 여전한지에 대해서는 청와대 관계자는 "변화 없다는 것이 아니다"라며 "북한 측에서 이번 사고에 상응하는 답변 해줘야된다. 책임자 처벌과 사과까지 요구했기 때문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북한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또 다른 대처를 강구하겠다는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다만, 이번 사건의 내용을 알고도 종전선언을 언급했다는 논란에 대해서는 일정상 불가피한 점이 있었다는 게 청와대측의 해명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3일 75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영상으로 전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23일 새벽 1시 30분쯤 문 대통령의 유엔 연설이 미국에서 방송됐는데, 이 시간은 '피격, 시신훼선' 사건에 대한 첩보 분석이 한참이던 때라는 것이다.
또 문 대통령의 연설은 사건 발생 이전인 15일 녹화돼, 18일에 유엔 측에 발송된 것이라고 청와대는 밝혔다. 사건 발생 한참 전에 이미 발송을 마쳤고, 수정하기에는 첩보 분석이 채 끝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