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한 일본 고교 교과서. 연합뉴스
일본정부가 독도는 일본 영토라고 기술한 교과서 도발에 대해 미국도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일 3자간 협력을 강조해오고 있던 참에 또 다시 터진 한일 역사 갈등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국이다.
지난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미국 국무부의 큰 관심사 가운데 하나는 북한 문제다.
이번 주 후반 워싱턴에서 한미일 3국의 국가안보보좌관 회의도 소집해 놨다.
바이든 정부가 마련하고 있는 새 대북정책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다.
29일(현지시간)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도 유엔 안보리 회의 직후 북한미사일 발사에 대해 한미일 3각 '찰떡'공조를 강조했었다.
그는 "미국과 한국, 일본은 이 도발에 맞서고 한반도 비핵화를 진전시키겠다는 약속에 대해 단결해 있다고 생각한다", "북한이 제기한 위협을 줄이기 위해 북한에 접근하겠다는 우리 세 나라의 결의를 흔드는 데 아무 효과가 없다"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 때문인지 국무부 대변인실은 30일 일본 교과서 도발에 대한 우리언론의 질문에 대해서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못했다.
대변인실이 밝힌 입장은 이렇다.
"일본과 한국이 역사적인 사안 등에 있어 지속적인 해결책을 보장하기 위한 논의를 계속할 것을 촉구한다", "미국과 한국, 일본의 견고하고 효과적인 3자 관계는 우리의 공동 안보와 공동 이익에 대단히 중요하다."
입장문에는 '독도'이름도, '다케시마' 이름도 아닌 '리앙쿠르 암초'라는 별칭을 사용했다.
지난주 북한 미사일 발사 때도 그랬다.
미국 국방부가 북한이 미사일을 '동해'로 발사했다고 표현했다가 일본 항의를 받은 뒤 더욱 입조심하는 눈치다.
양국 역사 갈등을 중간에 중재해도 마땅찮을 판에 격화시켜선 더욱 곤란하기 때문이다.
미국으로선 우리 재판부의 징용판결, 뒤이어 터진 하버드 램지어 교수 위안부 왜곡에 이어 이번 일본의 교과서 도발은 또 다른 돌발변수가 분명하다.
북핵 문제에 앞서 한일 갈등 중재라는 또 다른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처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