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앱테크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이 출시돼 있다. 관련 웹페이지 캡처. 이지수 대학생 인턴
"나 돈 벌거야".
23년 째 주부로 산 엄마가 30개 앱테크(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재테크) 목록이 적힌 노트를 자신 있게 내밀었다. 한 달에 수십만 원의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주장하는 유튜버들이 추천한 앱이었다.
휴대폰으로 돈을 벌 수 있다니 누구나 관심을 보일 만하다. 하지만 용량이 작아 모든 앱을 깔 수도 없는 현실. 그녀의 희망을 내가 대신 실현해보기로 했다.
어머니가 야심차게 적어놓은 앱테크 어플리케이션 목록들. 이지수 대학생 인턴
우선 10개의 앱을 실행했다. 종류도 다양했는데 △AI 자료수집에 쓰일 사진 찍기 △출석 체크 △만보기 △설문조사에 심지어 △감성적인 위로의 댓글을 달면 돈을 주는 곳도 존재했다.
모든 앱이 가진 공통점이 있다면 회원가입과 개인정보 노출이 필수라는 점이었다. 이들에게 가입자 정보는 곧 수익원이 되기 때문이다.
출석 체크 1원, 설문조사 300원…. 고작 몇 원을 위해 개인정보를 내줬다는 회의감이 드는 것도 잠시. 조금씩 쌓여가는 돈을 보자 곧 짭잘한 수입을 마주할 거란 기대감에 입가에 미소가 번졌다. 이후 잠시 쉬는 시간이라도 생기면 곧장 적립 가능한 캐시들을 찾아 나섰다.
'소비자 조사, 소요시간 16~18분, 적립금 1400~1600원'. 가격 높은 설문조사 알림이 울리면 마치 경매에 붙여진 듯 여지없이 핸드폰을 들었다. 선착순 마감으로 기회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압박감 때문이었다. 어느새 생활은 앱테크에 맞춰 돌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중 한 문구에 눈이 번쩍 뜨였다. "초 간단 미션! 건당 적립 5원".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 수집을 목적으로 사진 속 주어진 물체가 정확히 찾아졌는지 검사하는 미션이었다. '2천개만 하면 만원이잖아. 소비자를 너무 쉽게 보네' 노력만 하면 금방 돈이 불어날 것 같은 매력적인 문구에 망설임 없이 시작 버튼을 눌렀다.
앱테크 어플리케이션 캡처. 이지수 대학생 인턴
10분쯤 지났을까. 50건을 완료했을 때 패기 있게 도전했던 마음은 어느새 후회로 바뀌고 있었다. 휴대폰 화면의 절반도 안 되는 작은 사진을 들여다보며 물체를 찾고 있자니 눈이 뻐근하고 아프기 시작한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어지러워지면서 메스꺼움마저 올라왔다. '잠깐만, 내가 상상했던 모습은 이게 아닌데…' 과도한 열정에 취해 공짜 돈은 없다는 사실을 놓치고 있었다.
사흘이 지난 뒤 진행된 첫 정산. 현금화 할 수 있는 돈은 2368원이 전부였다. 앱에서 요구하는 정보는 전부 제공했지만 돌아온 결과물은 참담함 그 자체였다. 시급도 안 되는 수익을 올리기 위해 며칠 동안 핸드폰만 들여다보고 얻은 것은 충혈된 눈, 거북목 뿐이었다.
앱테크는 눈속임의 연속이었다. 어떤 앱의 경우 8분마다 1캐시를 지급했다. 시간에 따라 적립이 이뤄진다고 하지만 1캐시의 실질적 가치는 약 0.22원에 불과했다. 1시간에 벌 수 있는 돈은 약 1.5원인 것이다. 앱을 출시한 기업가도 이 앱을 사용할까 의문이 들었다.
제휴 맺은 유튜버를 구독하거나 SNS를 팔로우 한 뒤 적립요청을 하면 1~20원을 지급해주는 미션도 주요 수입원이었다. 하지만 "취소시 적립금 회수 및 광고 재참여 불가"라는 문구에 발목이 잡혔다. 지속적으로 원하지 않는 상대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들의 알람까지 받아야 하는 것이 15원의 대가인 것이다.
돈을 퍼주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전략에는 광고성 문구도 한몫했다. 한 설문조사 앱에서는 "조사 완료 시 1천원 지급, 조건에 따라 참여자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라고 명시해놓은 후 대상이 아닌 경우 50원을 지급했다.
사흘동안 앱테크로 벌어들인 수익, 2386원. 이지수 대학생 인턴
이런 보여주기식 앱테크에 불만을 가진 사람은 쉽게 찾을 수 있었다. 1년째 걷기 앱으로 돈을 적립해온 대학 친구 나모(23)씨는 "만 보를 걸어야 백 원을 주는 앱인데 오히려 광고에 있는 퀴즈를 맞춰 캐시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게 모순된다"고 말했다.
불편한 점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그는 "그래봤자 짜다"며 "심지어 몇 보 걸으면 그만큼 클릭을 해야 적립이 되는데 클릭 버튼 위에 계속 광고가 뜨게 만들어서 피하려고 해도 누르다 보면 계속 광고 사이트로 넘어간다"고 토로했다.
이 친구는 "그래도 전에는 빠르고 쉽게 누를 수 있었는데 이제는 광고 창 크기도 두 배로 커져 더 어려워졌다"며 앱의 꼼수도 갈수록 진화한다고 말했다. 심지어 지난 달에는 아무 공지없이 1년 째 쌓아 놓은 코인이 날아가버리는 경험도 했다고.
다른 친구 양모(23)씨의 입장도 비슷했다. 그는 "돈과 건강을 함께 챙길 수 있다는 생각에 앱테크를 시작했는데 별로 돈이 모이는 것 같진 않다"며 "돈을 준다고 해놓고선 예전에는 100보만 걸으면 1원을 주더니 어느새 300보였다가 이제는 500보를 걸어야 1원을 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돈이 적립되어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금방 소멸되서 실상 쓸 수가 없다"고 속상한 마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최근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부수입이 가능한 앱테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핸드폰을 거치하면 자동으로 걸음 수를 채워주는 만보기 기계마저 등장했다. 하루 100원을 얻기 위해 구매하는 이 기계의 가격은 배송비 포함 약 9000원대.
부수입을 얻고자 기세 좋게 시작한 앱테크의 현실은 거북목과 충혈된 눈, 그리고 허탈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