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인천 해양자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천 학계 '잰걸음'



경인

    "인천 해양자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천 학계 '잰걸음'

    해양교육문화 활성화 정책 토론회 개최
    권기영 인천대 문화대학원 지역문화연구소장 "인천, 해양도시 인식 부족 심각"
    "정치·경제 아닌 해양·문화 중심으로 재정립해야"
    남북 교류 협력과 인천 해양자원의 세계자연유산 등재 전략적 추진 제안
    지역 거점 대학의 해양 교육·문화연구 지원도


    인천대학교 대학본부. 사진 인천대 제공인천대학교 대학본부. 사진 인천대 제공
    해양도시 인천이 국제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남북 교류 협력과 다양한 해양자원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인천대에서 열린 '인천시 해양교육문화 활성화 정책 전문가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권기영 인천대 인천대 문화대학원 지역문화연구소장은 "인천 전국 갯벌의 30%가량을 차지할 만큼 해양자연자원이 풍부하고 서해5도 등 접경수역이 있어 남북 교류를 넘어 동북아 거점도시로 성장할 잠재력이 높다"며 이같이 밝혔다.

    168개 섬 있지만 시민들의 해양 관심은 최하위…바다를 등진 인천

     권 소장의 주장을 정리하면 인천은 168개의 섬이 있는 해양도시지만 다른 도시에 비해 해양교육문화에 대한 인천시민의 인식은 낮은 편이다. 올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발표한 '2021 해양수산 국민 인식도 조사' 결과를 보면 경기·인천 시민의 해양 수산에 대한 관심도는 49.4%로 가장 낮았다. 해양수산 정책으로 인한 정책 체감도 역시 49.1%로 절반을 넘지 못했다.
     
    부경대학교가 매년 전국 1천여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에게 바다는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조사해 발표하는 부경해양지수도 2019년 기준 인천은 1천점 만점에 524점에 전국 최하위였다. 권 소장은 이같은 결과가 나온 것은 "오랜 기간 인천시민은 매립과 철책으로 바다와 친숙하지 못한 데다, 문화적으로 바다를 등지고 서울을 바라보는 형국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해양 관련 시설을 봐도 충남 당진의 함상공원과 서천의 해양박물관, 전남 목포의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해남의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 완도의 어천민속전시관, 여수의 전남해양수산과학관 등 인천보다 규모가 작은 해안을 둔 기초단체에도 해양관련 시설들이 있지만 인천은 2024년 문을 열 예정인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을 제외하면 전무하다.
     
    지자체의 관심도 해양과 거리가 멀다. 일례로 해양도시면서 인천과 비슷한 인구 규모를 갖고 있는 부산시는 산하 연구기관인 부산연구원에 해양·관광연구실을 두고 있지만 인천연구원은 해양·관광 관련 연구부서가 전무하다.
     
    서해5도 인근 해역에서 불법조업 중국어선을 단속하는 해양경찰 모습. 사진 연합뉴스서해5도 인근 해역에서 불법조업 중국어선을 단속하는 해양경찰 모습. 사진 연합뉴스

    중국과의 영유권 분쟁서 우위 선점…남북 교류 협력 강화 필요

     권 소장은 이같은 상황에 대해 지금까지 인천시가 추진했던 사업들이 정치·경제적 필요에 따라 섬과 바다를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천시가 해양문화의 관점에서 바다를 본격적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소장은 해양의 관점에서 인천시가 앞으로 인천이 추진해야 할 전략적 사업은 '남북 교류 협력과 인천 해양자원의 세계자연유산 등재'라고 강조했다.
     
    남북 교류 협력은 중국과의 영유권 분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이다. 이를 위해 남북 정상이 2018년 4·27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와 서해평화수역 지정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게 권 소장의 주장이다.
     
    중국은 일본과 센카쿠 열도를, 베트남과는 시사군도와 난사군도를, 필리핀과는 스카러버 섬을 둘러싸고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우리 정부와는 서해를 두고 한중어업협정 등을 통해 영유권 확보를 위한 논의가 20여년째 이어지고 있다.
     
    불법조업 중국어선이 우리 해역에 출몰하는 것도 이러한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남북 갈등이 깊어지면 불법조업 중국어선이 북한 해역으로 도주하면서 우리 어장을 황폐화하는 등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서해평화수역 지정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추진은 남북이 중국과의 영해 분쟁을 방어하고 한반도의 평화 정착, 나아가 번영을 위한 단초라고 권 소장은 주장했다.
    백령도 두무진. 사진 옹진군 제공백령도 두무진. 사진 옹진군 제공

    대청·백령지질공원 등 해양자원 세계자연유산 등재 추진해야

     인천 해양자원의 세계자연유산 등재 역시 서해5도와 관련이 있다. 2019년 대청도와 백령도가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받은 것을 적극 활용하자는 것이다.
     
    이곳은 10억년 전 신원생대의 변성퇴적암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흔적 화석인 스트로마톨이트(선캄브리아시대 시아노 박테리아의 신진대사에 의해 만들어진 퇴적구조)가 발견되는 등 지질학적 가치가 매우 우수하다. 자연경관도 매우 뛰어나 관광 등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게 당시 정부의 평가였다.
     
    대청·백령의 자연경관과 지질학적 가치는 이미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된 제주도와 청송, 무등산권 등 3곳과 비교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세계자연유산 등재가 가능하다고 권 소장은 주장했다.

    이와 함께 남북이 함께 사용하는 한강하구 공동이용 수역 역시 강화도 교동도 등이 포함돼 있어 연구 가치가 높다.
     
    권 소장은 또 인천시민들의 낮은 해양 인식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 대학이 발 벗고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지역거점 대학의 역할을 맡은 인천대 산하에 해양관련 연구와 교육을 담당하는 해양교육문화연구소가 민·관·학 소통 창구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