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서울-6개 광역시 중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격차 10억



부동산

    서울-6개 광역시 중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격차 10억

    핵심요약

    文정부 출범후 6개 광역시 아파트 79.8% 오를때 서울 아파트 100.5% 올라
    중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격차 2017년 5월, 4억 6718만 원→2022년 3월, 10억 618만 원

    경제만랩 제공올해 3월, 서울과 6개 광역시 중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격차가 1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재인 정부가 다주택자에 대한 전방위적 규제에 나서자 서울 핵심지로 몰리는 '똘똘한 한 채'의 영향으로 지역간 아파트 가격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분위기다.

    13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븐온을 살펴본 결과, 2017년 5월 서울과 6개 광역시 중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각각 8억 326만 원, 3억 3608만 원으로 두 곳의 아파트 가격 격차는 4억 6718만 원이었다. 하지만, 올해 3월에는 서울 중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이 16억 1059만 원으로 급등했고, 6개 광역시는 6억 441만 원으로 나타나면서 서울과 6개 광역시 중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격차는 10억 618만 원으로 확대됐다.

    6개 광역시 아파트 가격은 더디게 오른 반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급격하게 치솟아 오르면서 가격 격차가 벌어진 것이다. 이 같은 지역간 가격 상승세는 실거래가에서도 확인됐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목련타운'(전용면적 99.79㎡)는 2017년 5월 8일 11억 6천만 원(11층)에 거래됐지만, 올해 3월 30일 에는 25억 3천만 원(5층)에 매매 계약이 이뤄졌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3억 7천만 원 오른 것이다.

    반면 인천 부평구 갈산동에 '두산'(101.82㎡)도 같은기간 3억 6천만 원(12층)에서 5억 8천만 원(13층)으로 2억 2200만 원 상승했다.

    대전 유성구 상대동 '트리풀시티'(101.92㎡)는 2017년 5월 4억 9700만 원(9층)에서 올해 3월 9억 3400만 원(14층)에 팔려 4억 3700만 원 상승했고, 부산 금정구 구서동 '구서동 롯데캐슬골드 1단지'(96.42㎡)는 2017년 5월 4억 9100만 원(6층)에 팔리고 올해 3월에는 8억 250만 원(16층)에 매매돼 3억 1150만 원 올랐다.

    대구 달서구 월성동 '월성 푸르지오'(101.86㎡)도 4억 3500만 원(15층)에서 7억 원(26층)으로 2억 6500만 원 올랐고, 광주 북구 운암동 '운암산 아이파크'(101.97㎡)도 4억 1200만 원(12층)에서 6억 1500만 원(8층)으로 상승했다.

    한편, 서울과 6개 광역시 중형 아파트 전세평균가격 격차는 2017년 5월 2억 1289만 원이었지만, 올해 3월에는 4억 3354만 원으로 확대됐다.

    경제만랩 황한솔 리서치연구원은 "정부의 잇따른 규제로 서울의 똘똘한 한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며 "지역간 아파트 가격 격차는 물론, 청약시장에서도 서울과 일부 지방에서의 양극화 현상은 더욱 짙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