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文대통령-김정은 마지막 인사 나눴지만…北 무력시위 돌리긴 역부족



대통령실

    文대통령-김정은 마지막 인사 나눴지만…北 무력시위 돌리긴 역부족

    마지막 친서교환에서 신뢰 표하며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성과 일부 인정
    文대통령 대화 강조했지만 北의 화답은 없어. 靑도 "北 풍계리 핵실험 준비, 상황 변화 예단 어려워"

    연합뉴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퇴임을 앞두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보낸 마지막 친서에서 "대화로 대결의 시대를 넘어야 한다"며 북한의 무력 시위에 간접적으로 우려의 뜻을 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를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남북 관계의 전환을 이끌 정도가 아닌, 임기 말 '덕담' 수준의 메시지 교환으로 분석되고 있다.

    文대통령 대화 해결 강조, 金위원장 "노력하면 남북관계 개선 될 수 있어"

    22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지난 20일에 김정은 위원장에게 보낸 친서에서 "대통령으로 마지막이 될 안부를 전한다"며 "아쉬운 순간과 벅찬 기억이 교차하지만 김 위원장과 손잡고 한반도 운명을 바꿀 확실한 한 걸음을 내디뎠다고 생각한다"고 운을 띄웠다.

    이어 남북 대화가 희망했던 곳까지 이르지 못한데 대한 아쉬움을 표하면서, "대화로 대결의 시대를 넘어야 하고 북미간의 대화도 조속히 재개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22일 오전 춘추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친서를 주고 받은 것과 관련해 브리핑하는 모습. 연합뉴스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22일 오전 춘추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친서를 주고 받은 것과 관련해 브리핑하는 모습. 연합뉴스이는 북한의 무력시위가 고조되는 가운데,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무력시위를 중단해 줄 것을 요청한 발언이다.

    김 위원장은 이튿날 보내온 답신에서 "우리가 희망한 곳까지 이르지 못했지만 역사적 선언과 합의를 내놨고 이는 지울 수 없는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와서 보면 아쉬운 것들이 만히만 여지껏 기울여온 노력을 바탕으로 남과 북이 정성을 쏟아 나간다면 얼마든지 남북관계가 민족의 기대에 맞게 개선되고 발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고뇌와 수고 열정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퇴임 후에도 변함없이 존경하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하지만 '대화로 대결의 시대를 넘자'는 문 대통령의 제안에 대한 답은 하지 않았다.

    덕담 수준으로 北 무력시위 기조 되돌리기 어려워, 靑 내부 아쉬움 가득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친서 교환을 통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일부 성과를 인정하고, 서로간의 신뢰를 재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북한의 무력시위 기조를 바꾸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정치적 의미가 담긴 친서가 아니라 임기 말 문 대통령에게 존경을 표하며 덕담을 서로 주고받은 차원이라는 것.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이를 두고 "긍정적, 희망적 표현이 담긴 것은 다행스럽다"면서도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가 계속되고 풍계리 핵실험 준비 활동도 있다. 상황 변화를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북한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서 남북 정상의 친서 교환을 전하면서도, 문 대통령의 대화를 강조한 메시지는 공개하지 않은 점도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한다.

    정부가 가장 공을 들였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임기 말에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준비 등으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위기를 맞은 만큼 청와대 내에서도 다소 착잡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정부가 5년간 모든 심혈을 기울여서 진행해온 평화프로세스가 최종적인 목표에 다다랐으면 더없이 좋아겠지만 많은 아쉬움들이 남는다"면서 "개인적으로는 여기서 이 상황을 마무리해야되는 아쉬움과 여러 많은 생각이 있다"고 개인적인 소회를 밝혔다.

    다만, 이 관계자는 "평화라는 것은 항상 과정에 있기 때문에, 저희가 역점을 두었던 것은 평화를 제도화해서 흔들리지 않는 평화를 만들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며 "많은 합의문의 성과는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 성과를 토대로 다음 정부도 평화를 굳건하게 제도에 반영하는 과정으로 나아갔으면 좋겠다"고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