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중국에 대한 미국의 반도체 공급규제 뒤 중국 반도체 수입시장에 한국 반도체의 점유율이 떨어지는 등 위상이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19년 미국의 반도체 공급규제 이후 대만, 아세안 6개국, 일본, 미국과 한국의 중국 반도체 수입시장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중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2018년 대비 2021년 대만의 점유율은 4.4%포인트, 일본의 점유율은 1.8%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미국의 점유율은 0.3%포인트 줄었고, 한국의 점유율은 5.5%포인트 감소했다. 아세안 6개국은 0.4%포인트 증가에 머물렀다.
또 2021년 중국의 반도체 수입은 미국의 공급규제 직전연도인 2018년 대비 37.2% 증가한 가운데 대만과 일본 반도체 수입은 각각 57.4%와 34.8%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한국 반도체 수입은 미국의 규제에 따른 화웨이의 한국산 메모리 구매 중단과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6.5%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런 가운데 2020년 반도체 자급률 40%를 목표로 했던 중국의 실제 반도체 자급률은 15.8%로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아직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다만 중국의 반도체산업이 2018년 대비 2021년 매출액은 61.0%, 생산량은 94.0% 증가하는 등 양적성장을 지속하는 만큼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아 향후 10년 동안 글로벌 격차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경련은 예상했다.
전경련은 "주요 국가들이 국가역량을 총동원해 반도체 생태계 구축과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새 정부는 반도체의 글로벌 초격차 확보를 위해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