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광주교도소. 박요진 기자지난 2019년 12월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묘 개장 작업 도중 발견된 유골 중 1구가 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의 유전자정보(DNA)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5·18조사위')에 따르면 옛 광주교도소 개장 작업 중 발견된 유골 262구 중 160구에 대한 1차 유전자 정보 감식 결과 1구가 행방불명자로 신고된 유전자 정보와 일치했다.
5·18조사위는 262구 중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160구를 추려 이 중 40구에 대해 1차적으로 유전자 분석·비교 검증 과정을 거쳤다.
검증 결과 1구가 5·18민주화운동 당시 실종된 행방불명자의 DNA가 99.9%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2차로 검증을 한 60구 중에서는 2구가 행방불명자와 유전자가 일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추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직 조사가 안 된 40구에 대해서도 유전자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다만 1800여 개의 뼛조각 중 대퇴부 부위의 뼛조각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했기 때문에 유골을 추가로 찾아 전체 형상을 갖춰야 유족에게 통보 및 확인이 가능한 상황이다.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견된 무연고자 묘. 박요진 기자5·18민주유공자유족회 관계자는 "행방불명자의 유골이 발견된 것만으로 가슴 아픈 일"이라며 "지속적으로 유가족과 소통하면서 추후 조사 결과에 대해 입장을 나타내겠다"라고 말했다.
5·18기념재단은 "지난 42년간 드러나지 않았던 5·18 당시 암매장 의혹이 사실로 확인됐다"며 "옛 광주교도소는 5·18 당시 계엄군이 사망한 시민을 암매장한 장소로 지목됐던 장소로, 2019년 공사 중 무연고자 묘지에서 신원을 알 수 없는 다수의 유골이 발견됐다"라고 밝혔다.
이어 "암매장 의혹은 그동안의 증언, 목격담, 군 기록을 바탕으로 꾸준히 제기됐지만 행방불명자의 신원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번 조사를 통해 행방불명자와 암매장 의혹의 연결고리가 사실로 확인된 만큼 행방불명자로 인정되지 못했던 신고자에 대한 전수조사와 함께 유전자 확보를 통해 진상이 온전히 드러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5·18조사위는 올해 6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으로부터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견된 유골 160구에 대한 채취 결과를 받아 STR(모계·부모세대의 유전자 비교)기법과 SNP(형제·자매·이종사촌 유전자 비교)기법을 교차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
특히 기존 국과수에서 사용하는 STR 기법만으로는 결과를 분석해내기 어렵다고 판단해 SNP기법을 새로 도입했다. 이번 유전자 정보가 일치한 1구도 SNP 기법으로 결과를 도출해낸 것으로 알려졌다.
5·18조사위는 올해 말까지 추가적으로 유전자 검사를 마친 뒤 행적 조사를 진행해 유전자가 일치한 것으로 나온 유골에 대해 정확한 사망 경위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관계자는 "1구에 대해서 신원과 유가족이 확인된 상태"라며 "다만 사망과 매장 경위 등을 확인하고 유골 전체 모양의 형상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신원 등은 확인해줄 수 없다"라고 말했다.
한편 옛 광주교도소는 2019년 12월 법 체험 테마파크 '솔로몬 로(law)파크'가 조성될 계획이었지만 공사 당시 무연고자 묘 근처에서 신원미상의 유골 262여 구가 발견됐다. 5·18당시 3공수여단과 20사단 병력들은 옛 광주교도소에 주둔했으며 3공수여단이 머무는 기간 교도소 부근에서는 민간인 희생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