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단독]SM 직원 "하이브, 독립성 약속? 레이블 관여 공공연"

문화 일반

    [단독]SM 직원 "하이브, 독립성 약속? 레이블 관여 공공연"

    핵심요약

    SM 핵심 인력이 밝힌 하이브 인수 반대 '속사정'
    "하이브는 교감 전무…카카오는 '인수' 개념 아냐"
    "연습생 교환, 레이블 관여 있어…독립성 유지 불가능"
    "이수만 제왕적 권력에 가스라이팅…그냥 SM이고파"

    왼쪽부터 방시혁 하이브 의장,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전 총괄 프로듀서. 왼쪽부터 방시혁 하이브 의장,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전 총괄 프로듀서. 하이브가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 인수에 나섰지만 만만치 않은 장벽을 만났다. 바로 SM '본체'라고 할 수 있는 경영진과 임직원들의 반발이다. 이들은 하이브의 인수를 '적대적 M&A'로 규정하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SM은 지난해 12월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이하 이수만 전 프로듀서)와의 프로듀싱 계약 해지 후 카카오와 손잡고 SM 3.0을 통한 도약과 변화를 발표했다. 그러나 하이브가 이수만 전 프로듀서의 지분 14.8%를 매수해 최대주주에 오르면서 SM 경영진이 추진한 SM 3.0 실행도 미지수에 빠졌다.

    하이브는 그 동안 빅히트, 플레디스, 쏘스뮤직, 어도어 등 각 산하 레이블에 독자적인 프로듀싱 및 운영을 보장하면서 멀티 레이블 체제를 갖췄다. 박지원 하이브 CEO 역시 지난 14일 사내 설명회에서 'SM의 레거시(유산)를 존경한다'며 'SM 독립성' 보장을 약속했고, 하이브는 'SM 고유의 색채를 존중'하겠단 뜻에서 7인의 이사 후보자 명단에 크리에이티브 분야 후보를 제외했다.

    여기까지만 보면 이수만 전 프로듀서와 손잡은 하이브나, SM 경영진과 손잡은 카카오나 특별히 상황이 다르지 않다. 카카오 역시 여러 기획사들을 인수해왔고, 멀티 레이블 체제로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왜 SM 내부에서는 유독 하이브 인수에 대한 저항이 심할까.

    CBS노컷뉴스 취재 결과 이는 업계 경쟁사에 대한 단순 '신경전'은 아니었다. 하이브가 SM을 인수할 경우, SM이 보유한 모든 시스템을 포함해 국내 아이돌 산업을 독점하게 되면서 건강한 경쟁을 해친다는 설명이다.

    SM 핵심 인력인 A씨는 17일 CBS노컷뉴스에 "하이브가 SM의 컬처 테크놀로지(문화 기술)를 눈여겨 봤던 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여기 오랜 실무자들 중에 (하이브로부터) 헤드 헌팅(영입) 제안을 받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라며 "특히 신인 개발과 프로듀싱 인력 부분이 그랬다"고 전했다.

    이어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사람이 기술과 노하우의 집약체인데 인수되면 당연히 하이브가 이를 넘겨 받게 된다. 하이브로서는 다시 없을 기회였을 것"이라며 "방탄소년단 군 입대 이후 업계 리딩 위치를 확고히 하면서 경쟁 부담도 해소되고, 일단 국내 가요계는 하이브가 좌지우지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선순환 경쟁이 없는 독과점 생태계가 되는 셈"이라고 부연했다.

    A씨가 전한 내부 및 업계 분위기에 따르면 하이브의 SM 인수 방식부터 독립성 보장 약속까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A씨는 "SM 경영진이 오늘(17일) 내부 설명회를 가지기도 했지만, 하이브와 카카오는 접근법부터 그 양상이 다르다. 애초에 카카오는 '인수' 개념이 아닐 뿐더러, 이미 지난해부터 논의 끝에 SM IP(지식재산권)와 카카오 플랫폼 및 콘텐츠 사업의 시너지 일환으로 제휴가 이뤄졌다"며 "그런데 하이브는 아무런 교감도, 심지어 실사 한 번 없이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가 영업 이익이 저조해 인수되는 상황도 아니다. 하이브가 SM의 어떤 가치를 지켜야 하는지도 모르는데 그걸 지킬 수가 있나"라고 반문했다.

    하이브가 '독립성 유지' 차원에서 강조한 멀티 레이블 체제에 대해서도 "이미 하이브 산하 레이블 간 연습생 교환이 비일비재하며 그렇게 탄생한 그룹들이 있다. 하이브가 더 큰 지분을 가진 레이블에 좋은 연습생을 배치해 그룹이 나오게 될 것"이라며 "하이브와 함께 일한 작업자들에 따르면 방시혁 의장 역시 이수만 전 프로듀서와 다를 것 없이 레이블 프로듀싱에 관여, 컨펌하고 그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시 제작이 이뤄지는 것으로 안다. 공공연한 사실이고, 당연히 레이블이 되면 독자성 유지는 불가능"이라고 내다봤다.

    SM 창업주인 이수만 전 프로듀서는 1997년부터 개인 사업체인 라이크기획을 통해 프로듀서비 명목으로 거액을 받아간 것이 문제가 됐고, 결국 프로듀싱 계약을 끝내게 됐다. 라이크기획은 SM 경영 및 인수의 가장 큰 리스크로 꼽히기도 했다. 이성수·탁영준 공동대표이사를 비롯한 SM 직원들은 지금까지 왜 이를 저지할 수 없었던 것일까.

    A씨는 "이수만 전 프로듀서의 권력은 모든 프로듀싱 분야에 걸쳐 있었다. 가사, 음악, 콘셉트, 일정 등 전방위에서 아티스트 방향성과 무관하게 개인의 욕망을 반영해왔다. 사업 전반에 핫라인을 구축해서 핵심 실무자들에게 직접 지시를 내리는 식이었다. '나무심기'와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지속 가능한 경영) 캠페인 압박도 그 일환이었고, 에스파 외에도 피해를 본 아티스트들이 있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직원들이) 오래도록 가스라이팅을 당할 정도로 제왕적 권력 형태의 집단이었다. 모든 게 이수만 전 프로듀서의 측근으로 구성돼 있었고, 지금 척을 진 대표들도 직원들 입장에서는 최측근이었다. 모든 임원진이 그렇다고 생각하니 누구 하나 목소리 내기 힘든 구조였다. 알다시피 엔터 업계가 워낙 좁기에 이런 내용을 말하는 것 자체가 매장 수준이고, 지금까지도 낙인이 두려워 나서지 못하는 정서가 있다"라고 토로했다.

    마지막으로 A씨는 절박한 SM 직원들을 향해 쏟아지는 일각의 비난에 한 마디를 남겼다.

    "엄청나게 심신을 갈려가면서 일해왔고, 그렇게 지금까지 SM을 지키고 있는 직원들은 돈 때문에 있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아무리 제시된 연봉이 달콤해도 음악이, K팝(K-POP)이 좋아서, 자부심 하나로 버텨온 사람들이 대부분이죠. 우리는 카카오도, 하이브도 아닌 그냥 SM이고 싶습니다. 그게 안 된다면 적어도 자부심으로 버텨온 우리가 앞으로도 독자 경쟁을 하고 싶습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