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 풍경. 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오는 13~1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지난해 6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동기 대비 9.1%로 정점을 찍으면서 미 연준은 긴축의 고삐를 바짝 당겼다.
올해 4월 CPI는 4.9%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미 연준의 물가관리 목표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작년 초부터 무섭게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미 연준은 지난달까지 10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가파르게 올렸다.
4차례 연속 '자이언트스텝'(한번에 기준금리를 0.75%p 인상)은 물론 '빅스텝'(0.50%p 인상)도 2차례나 밟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 초 0.0~0.25% 수준이던 기준금리는 현재 연 5.0%~5.25%까지 5%p나 오른 상태다.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미 연준은 올해들어 3차례 연 FOMC에서는 기준금리 인상폭을 0.25%p로 제한하며 속도조절에 나섰다.
미 연준이 이번주 열리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하고 대신 시장에 향후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던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미국의 대형 쇼핑몰. 연합뉴스 최근 미국 노동부가 내놓은 6월 첫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시장의 예상치를 훌쩍 뛰어 넘는 26만 1천건으로 나온 것도 이런 전망에 힘을 싣는다.
전주 23만 3천건에 비해 2만 8천건 증가했고 이는 2021년 10월 이후 1년 9개월 만에 가장 많은 건수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가 많다는 것은 과열된 노동시장이 잠시 주춤하고 금리인상이 경기에 미치는 신호가 나타났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노동부 발표 직후 CNBC는 "이번 신규수당 신청 건수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중단할 것이라는 기대를 높였다"고 해석했다.
美연준. 연합뉴스
이번 FOMC 직전인 13일(현지시간)에 나오는 5월 CPI 상승률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4% 초중반대로 내려온다면 금리 동결 여력이 생기지만 반등하거나 같은 수준을 유지하면 연준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수 있다.
최근 캐나다와 호주 중앙은행이 시장의 예상을 깨고 전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도 인플레이션에 쉽게 타협하면 안된다는 신호로 연준을 압박할 수 있다.
하지만 골드만삭스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필립 제퍼슨 부의장 지명자 모두 금리 동결을 선호한다고 시사했다"고 전했다.
골드만삭스는 "연준 지도부는 향후 추가 금리 인상 신호를 보낼 수 있다"며 "0.25%p의 추가 금리 인상이 예상되며 그 시기는 7월이 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