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한은, 오늘 기준금리 결정…또 동결하나?



경제정책

    한은, 오늘 기준금리 결정…또 동결하나?

    다시 고개 드는 가계대출 증가세….변수 될까
    한미 금리차도 우려…그간 동결에도 안정적 관리
    전문가들, 기준금리 동결 예상…"소비자물가 상승률 2대%대 기록"

    사진공동취재단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13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또 동결할지 주목된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지난달 2%대로 떨어지고, 새마을금고 위기설에 따른 금융불안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어 한은이 이번에도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 20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약 1년 6개월동안 기준금리를 10차례, 총 3%포인트(p) 끌어올린 뒤 2월과 4월, 5월 세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연 3.5%로 유지했다.

    소비자물가 2%대 기록한데다 금융불안도 우려…인상 명분 없어

    금융업계 일각에선 대체로 이번 금통위에서도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3.75%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11.12로 1년 전과 비교해 2.7% 올랐다. 지난해 7월 6.3%를 기록하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그해 12월 5.0%로 낮아진 뒤 올해 1월 4.8%, 3월 3.7%대로 떨어졌다.

    통화정책에 주요 기준이 되는 근원물가상승률도 3.5%로 전월(3.9%)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물가안정목표치(2%)보다 높지만,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은으로서는 그간 기준금리 인상의 가장 큰 이유로 들었던 물가가 안정세에 접어든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또다시 인상할 유인이 사라진 셈이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한미 기준금리 격차에 대한 우려들이 나오지만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결을 전망한다"면서 "기준금리 인상은 FOMC 결과를 지켜보고 후행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새마을금고 위기설로 되살아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부실우려가 다른 금융기관으로 옮겨가 금융시장 불안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가 총력을 다해 새마을금고 발 금융불안을 잠재우려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해 불안을 키우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3%는 이달 금통위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내다봤다.

    금투협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7%를 기록해 한은의 목표치(2%)에 근접하면서 이달 기준금리 동결 기대감이 높아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과의 금리차는 우려…연준이 추가 긴축하면?

    연합뉴스연합뉴스
    다만 이번에 기준금리가 동결되면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오는 25~26일(현지시각)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더 올릴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이 경우 한미 간 금리 격차는 최소 2%포인트까지 벌어질 수 있다.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커지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대거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는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의 요인이 있다면 한미 간 금리차가 거의 유일할 것"이라면서 "연준을 비롯해 주요국의 추가 인상도 일부 점쳐지는 가운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7월 금통위에서 동결을 하되, 한미 간 금리차를 고려해 매파적인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그간 동결로 금리차가 벌어졌지만 환율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돼 왔기 때문에 이번에도 동결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가계부채가 변수가 될지도 주목된다.

    지난 12일 한은에 따르면, 정부의 규제완화와 부동산 경기 회복세로 주택구입 및 전세자금 수요가 늘어나면서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에 힘입어 은행 가계대출 역시 잔액 기준 사상 최대를 기록하면서 한은으로서는 관리를 다시금 고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동결 결정을 내렸던 지난 5월 금통위에서도 같은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당시 이창용 한은 총재는 "(가계대출이) 추세적으로 자리를 잡을 위험이 있다면 한국은행뿐만 아니라 기재부, 감독 당국 모두 가계부채를 GDP 대비로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하는 건 중요하다는 데에 공감대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