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신항 스마트물류센터 조감도. 부산항만공사 제공 부산항만공사가 부산항 만의 차별화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최신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물류센터(이하 물류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임대 운영사를 구하지 못해 애를 먹고 있다.
부산항에서는 주로 컨테이너 화물을 취급해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물류센터의 수요가 낮고, 기존 배후 물류단지보다 임대료가 비싸고, 임대기간도 짧기 때문이다.
공사가 제대로 된 임대 운영사를 구하지 못하면, 무려 887억원을 들인 스마트 물류단지를 놀려야 할 판이다.
부산항만공사(BPA)는 '부산항 신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임대 운영사 선정' 공고 접수를 마감한 결과 유찰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번이 세번째 유찰이다.
BPA는 5월 26일부터 7월 24일까지 60일간 신청을 받았지만, 단 1개 업체만 입찰에 응해 유찰됐다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25일부터 8월 28일까지 35일간 재공고를 실시한다.
BPA는 재공고를 실시한 이후에도 입찰 참여사가 1곳이면, 국가계약법에 따라 외부 평가위원회를 꾸려 응찰 업체의 사업능력, 계획을 평가한 뒤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BPA는 지난해 10월부터 진행한 공고가 2차례 유찰되자 임대조건을 대폭 완화했다.
임대기간을 당초 10년에서 조건부 최대 15년까지 늘렸고, 건물 임대료도 1년간 44억원에서 38억원으로 낮췄다.
또, 초기 3년간 건물 임대료도 1년차 50%, 2년차 30%, 3년차 20%씩 할인해주고, 실적평가 결과 적용 페널티 수준도 완화했다.
공사 측은 기준을 완화하긴 했지만, 기존 배후단지 임대료에 비해 스마트물류센터의 임대료가 높기 때문에 업체들이 쉽사리 입찰에 응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부산항 다른 배후단지 물류센터의 경우 임차인은 부지만 BPA로부터 빌려 건물을 짓고 50년간 운영할 수 있다.
그밖에 국토교통부의 스마트물류센터 인증 3등급 이상 획득, 30억원 이상 스마트 설비·장비·시스템 투자 등 초기 비용이 상당히 드는 것도 부담이다.
또, 부산항은 컨테이너 화물 등 중량화물 위주로 취급하다 보니, 재고가 쌓여있을때 효율적으로 운송이 가능한 스마트물류 시스템 수요도 낮은 편이다.
BPA측은 대기업 여러곳과 접촉하며 직접 세일즈에 나섰지만, 기업들은 고금리, 고유가, 고물가 기조에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자 신규 투자를 꺼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공사 측은 장기적으로 스마트물류센터가 부산항의 경쟁력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임대 운영사를 적기에 선정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신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4차 산업혁명에 맞춘 최첨단 기술 집약체다.
BPA와 해수부가 887억 원을 투입해(국고지원 266억원)신항 서 컨테이너 배후단지 1단계에 연면적 약 4만 7천 ㎡, 야드 약 4만 7천 ㎡, 지상 6층 규모로 올해 말 착공, 2025년 완공, 2026년 본격 운영 예정이다.
항만 배후단지에 도입되는 최초 사례로 로봇,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화물 보관과 입출고가 자동으로 이뤄진다.
특히, 배송, 보관, 포장, 재고관리, 교환·환불 서비스 등 종합물류서비스가 가능하다.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건립·운영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공동배송을 통한 편익 약 4800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약 3400억 원, 고용유발효과 약 4100명에 이를 것으로 공사는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