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열병식 김정은 좌우에 중국과 러시아…화성18형 ICBM에 경례



통일/북한

    열병식 김정은 좌우에 중국과 러시아…화성18형 ICBM에 경례

    김정은 왼쪽에 中 리훙중 오른쪽에 러 쇼이구 장관
    김정은 중심으로 중·러 호위 구도…북중러 3국 연대 강조
    화성18형 ICBM에 김정은·쇼이구 경례…북핵 인정 연출
    강순남 "美 무력사용 기도…상상해 보지 못한 위기 당할 것"
    김정은, 中 보다 러시아 우대…사실상 '2박 3일 동행'
    통일부 "한미일에 맞서는 북중러 연대 구도 보여주기"

    북한이 자칭 '전승절'(6·25전쟁 정전협정기념일) 70주년인 지난 27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병식을 개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8일 보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양쪽에 리훙중 중국 전인대 부위원장과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자리했다. 연합뉴스북한이 자칭 '전승절'(6·25전쟁 정전협정기념일) 70주년인 지난 27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병식을 개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8일 보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양쪽에 리훙중 중국 전인대 부위원장과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자리했다.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양 옆으로 중국과 러시아의 대표가 자리했다. 북한이 27일 6.25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개최한 열병식 주석단에서의 모습이다.
     
    중국과 러시아의 대표들이 북한의 핵 무력을 과시하는 전승절 열병식 주석단에 올랐다. 김 위원장을 중심으로 왼쪽에 리훙중 중국 전인대 부위원장이, 오른쪽에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호위하듯 자리했다.
     
    열병식에는 화성17형·화성18형 ICBM, 전술미사일·장거리순항미사일·핵무인공격정 해일 등 다양한 핵 무력이 동원됐다. 북한이 개발한 고고도 무인정찰기와 무인공격기도 열병식 상공을 시험 비행했다. 
     
    북한이 자랑하는 화성18형 ICBM 대열이 주석단 앞을 지나갈 때 김 위원장과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경례를 하기도 했다. 북한의 핵 무력을 중국과 러시아가 자연스럽게 인정하는 것과 같은 모양새가 연출됐다. 
     
    북한 열병식에서 화성18형 ICBM 대열이 주석단 앞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북한 열병식에서 화성18형 ICBM 대열이 주석단 앞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김 위원장을 중심으로 중국과 러시아의 대표가 엄호하듯 양 옆에 위치한 모습은 전승절 열병식 외에도 기념보고대회와 기념공연 관람 등 여러 장면에서도 등장했다.
     
    김 위원장이 전승절 열병식과 기념보고대회에서 직접 연설을 하지는 않았으나, 이런 장면은 북·중·러 3국 결속의 메시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됐다. 
     
    김 위원장의 대내외 메시지는 강순남 국방상의 연설을 통해 전해졌다. 강순남 국방상은 한미 핵 협의 그룹 회의 개최와 미국 핵잠수함의 부산기항 등을 거론한 뒤 "지금 미제와 《대한민국》의 역적들은 감히 우리 국가의 《정권종말》에 대하여서까지 떠들면서 미친 망발을 서슴지 않고 있다"며, "지금 이대로 군사적 대결을 기도하며 나간다면 우리 국가의 무력 행사가 미합중국과 《대한민국》에 한해서는 방위권 범위를 초월하게 된다는 것을 엄중히 선포한다"고 위협했다. 
     
    "만일 미합중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무력사용을 기도한다면 그들은 여직 상상해보지 못한, 직면해보지 못한 위기를 당해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김 위원장은 한미일 3국에 대응한 북중러 3국 결속을 강화하는 가운데서도 특히 쇼이구 국방장관 등 러시아 대표단을 극진히 환대하는 모습이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7일 '전승절'(6·25전쟁 정전협정기념일) 70주년 행사 참석차 방북한 러시아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과 군사대표단을 위해 연회를 마련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8일 보도했다. 연합뉴스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7일 '전승절'(6·25전쟁 정전협정기념일) 70주년 행사 참석차 방북한 러시아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과 군사대표단을 위해 연회를 마련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8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26일 러시아 군사 대표단을 노동당 본부청사에서 직접 접견했고, 27일에도 쇼구치 국방장관과 담화 및 오찬을 했으며,  군사대표단을 위한 연회도 개최해 함께 했다.
     
    26일 무기전시회 참관과 기념공연 관람까지 합치면 2박 3일 방북기간 내내 김 위원장이 러시아 대표단과 거의 함께 한 셈이다. 27일 전승기념 보고대회에서는 쇼이구 국방장관이 이례적으로 푸틴 대통령의 축하 연설을 대독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쇼이구 장관과의 담화에서 "두 나라 사이에 호상 관심사로 되는 중요 문제들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했다고 했다. "급변하는 국제 안보환경과 조선반도 지역의 군사정치정세"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국방안전 분야에서 두 나라사이의 전략 전술적 협동과 협조를 가일층 발전시키는데서 나서는 일련의 문제들이 진지하게 토의"했다는 것이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러시아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이 연회장으로 입장하는 가운데 입구 양옆에 김정은과 푸틴의 대형 초상화가 걸려있다. 연합뉴스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러시아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이 연회장으로 입장하는 가운데 입구 양옆에 김정은과 푸틴의 대형 초상화가 걸려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하고 있는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하고 러시아도 북한과 각종 군사협력을 하는 방안 등이 심도 깊게 논의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통일부는 이번 열병식에 대해 "6.25 전쟁을 '북침'으로 날조한 전통을 이어가면서 군사력과 반미연대 강화를 주장하는 등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맞서는 북‧중‧러 연대 구도를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통일부는 "북한이 이번 열병식 기간 중국보다는 러시아와 보다 밀접한 협력 의지를 표명했다"며, "김 위원장이 중국 대표단과는 공연장에서 약식 접견을 하는데 그치는 등 김정은 동반 일정과 보도 비중 등의 측면에서 러시아와 확연한 온도차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