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전수조사 민간아파트 주거동에도 무량판 채택…'아파트 불안 확산하나?'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경제정책

    전수조사 민간아파트 주거동에도 무량판 채택…'아파트 불안 확산하나?'

    핵심요약

    국토부, 293개 민간아파트 전수조사 계획, 이달 중 안전점검 방안 마련
    붕괴로 7명 사상자 낸 광주 화정동 아파트, 주거동도 무량판 구조 확인
    전체 조사 대상중 64% 이미 입주
    전수조사에 3개월 소요 전망, 결과에 따라 상당한 파장 예상

    외벽 붕괴한 아파트 건설 현장. 연합뉴스외벽 붕괴한 아파트 건설 현장. 연합뉴스
    정부의 '철근 누락' 전수조사 대상 민간 아파트 293개 단지 중 주거동에 무량판 구조를 채택한 곳이 확인되고 있다. 시민들의 불안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월 공사 중 붕괴해 7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던 광주 화정동 아파트는 주거동이 무량판 구조였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아파트는 지하주차장에만 무량판 구조를 사용한데 반해 민간 아파트는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가 사용된 것이다.
     
    국토부는 대통령 지시에 따라 민간 아파트에 대한 '철근 누락' 전수조사에 돌입한다. 대상은 2017년 이후 준공된 전국 민간 아파트 중 무량판 구조를 채택한 293개 단지다.
     
    이 가운데 64%인 188개 단지는 이미 입주를 마쳤으며 나머지 105개 단지는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국토부는 이달 중 본격적인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안전진단 결과가 나오는데 3개월 정도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민간 아파트의 경우 광주 화정동 아파트처럼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를 채택한 곳이 섞여 있어 점검 결과가 나오면 파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국토부가 철근 누락이 확인된 LH 아파트 명단을 공개하며 지하주차장 상부에 주거동이 없어 주거 안전이 우려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 것과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만 건설업계는 아파트에 무량판 구조 채택이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광주 화정동 사고나 인천 검단 신축아파트 사고는 무량판 구조 적용이 직접적 원인이 아닌 시공·감리 등 총체적인 부실이 요인으로 지적된 바 있다.
     
    국토부는 국민들이 불안해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최대한 서둘러 어떻게 점검할지 밝힐 계획이라는 입장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