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시민사회 "尹, 지금이라도 해양투기 철회 강력히 촉구해야"



사건/사고

    시민사회 "尹, 지금이라도 해양투기 철회 강력히 촉구해야"

    전날 시민단체-경찰, 무대 설치 놓고 20여분 간 실랑이…"집회의 자유 침해"
    日 오염수 방류 D-1…"일본 정부, 이기적이고 무책임해"

    23일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일본의 방사성 오염수 방류 일정 철회를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23일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일본의 방사성 오염수 방류 일정 철회를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오염수 해양 투기를 반대하는 여론을 잠재우려는 정부를 향해 시민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일본방사성오염수해양투기저지공동행동(공동행동)은 23일 오전 11시 30분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윤석열 정부는 지금이라도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 잠정 중단 또는 철회를 강력하게 촉구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전날 오염수 해양 투기를 막기 위해 열린 긴급 항의 집회는 시작 전부터 경찰을 동원한 윤석열 정부에 의해 집회의 자유를 침해당했다"며 "공동행동은 법적 절차를 통해 집회 신고를 했으나, 경찰은 인원이 적을 것이라는 자체 판단을 통해 무대 설치와 이동을 막았으며, 이후에는 500인이 안 된다는 이유로 집회를 방해하고, 이에 항의하는 국회의원까지 끌어내는 폭력을 저질렀다"고 꼬집었다.

    전날(22일) 오후 7시쯤 공동행동 활동가들과 강은미 정의당 의원·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은 서울 중구 서울시청 동편 광장에서 집회를 열어 해양 투기를 결정한 일본 정부를 규탄하려고 했지만, 무대 설치를 놓고 경찰과 20여 분 간 실랑이를 벌였다.

    공동행동은 "윤석열 정부는 지금이라도 방사성 오염수 해양 투기를 반대하는 국민들의 준엄한 목소리에 답해야 한다"며 "진정한 국익은 바로 국민의 이익이며, 국민의 가장 큰 이익은 생명과 안전이 보장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를 반대하는 국민의 목소리를 끝내 외면한다면, 안전한 바다를 염원하는 우리 국민의 강력한 심판과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23일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일본의 방사성 오염수 방류 일정 철회를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23일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일본의 방사성 오염수 방류 일정 철회를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오염수 해양 방류를 결정한 일본 정부를 규탄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공동행동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핵 오염수는 일본 정부가 끝까지 관리하고 책임져야 할 핵폐기물임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그 모든 책임을 방기한 채 오염수 해양 투기라는 인류를 향한 핵 테러를 강행하기로 결정한 것"이라며 "일본 정부의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결정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비판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 22일 담화를 통해 "(방류 개시 시점은) 기상 등 지장이 없으면 24일로 예상한다"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대응에 폭넓은 지역·국가로부터 이해와 지지 표명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도쿄전력에 따르면, 일본은 이번해 안으로 총 3120만 리터의 오염수를 바닷물과 섞어 4회에 걸쳐 바다로 방류한다.

    공동행동은 이날 오후 7시에도 일본대사관 인근에서 촛불 집회를 열고, 이번주 내내 전국 곳곳에서 '일본 핵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전국행동'을 열 계획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