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토르' 크리스 헴스워스도 '이 병' 고위험군…예방법은?

보건/의료

    '토르' 크리스 헴스워스도 '이 병' 고위험군…예방법은?

    핵심요약

    치매 환자 수 매년 5만 명씩 증가…올해 100만 명 도달
    퇴행성 치매 원인 중 60~70%가 알츠하이머병
    "신약도 나와, 알츠하이머 완치되는 시대 오고 있다"
    "운동, 음식 등 생활습관 개선이 가장 중요"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매년 9월 21일은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알츠하이머협회(ADI)가 치매 환자들의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지정한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이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 질환으로, 아직 제한적인 치료만 가능해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마블 스튜디오 영화 '어벤져스' 시리즈에서 '토르'를 연기하고 있는 할리우드 배우 크리스 헴스워스가 알츠하이머 고위험군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영화 출연 횟수를 줄이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중앙치매센터에서 발표한 '2022년 대한민국 치매 현황'에 따르면 65세 이상 치매 환자 수는 매년 약 5만 명씩 증가해 올해는 100만 명에 도달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 환자인 셈이다.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치매 인구도 기하급수적으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

    퇴행성 치매의 원인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병이 알츠하이머병이다.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 질병은 100여 가지에 이를 정도로 많은데, 알츠하이머가 전체 치매 원인 중에서 60~70%를 차지한다.

    알츠하이머는 주로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최근에는 65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초로기(45~60세) 알츠하이머병 치매도 느는 추세다. 유전되는 가족형 알츠하이머병 치매도 30~40대에 드물게 발병하기도 한다.

    알츠하이머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여러 가설이 제기되고 있는데, 그중 아밀로이드 가설이 핵심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아밀로이드 가설에 따르면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라는 독성 단백질이 뇌에 과도하게 축적돼 뇌세포 간의 연결 고리를 끊고 뇌세포를 파괴하면서 알츠하이머가 발생한다. 초기에는 주로 건망증 등 가벼운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결국 여러 인지 기능이 떨어져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알츠하이머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길눈이 어두워지는 등의 기억력 저하다. 이외에도 성격 변화 및 행동장애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발생한다. 병이 점차 진행하면 망상, 환각, 음식이나 돈에 대한 집착이나 특정 물건들을 주워 오는 행동 변화가 발생하는 등 보호자가 돌보기 힘들어진다.

    가천대길병원 신경과 박기형 교수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치매 환자가 폭력적으로 성격이 변해 가족들의 일상생활이 어려워져 어쩔 수 없이 시설로 보내기도 한다"고 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현재 알츠하이머병 치료약제는 증상을 호전시키는 증상 치료제와 질병의 원인을 치료하고자 하는 질병변경치료(DMT)로 나눌 수 있다. 증상 치료제는 병 자체를 치료하지는 못하고 단지 인지기능을 개선시킨다.

    의학계에서 가장 기다리는 것은 질병변경치료제다. 이중 아밀로이드를 기반으로 한 약물이 가장 많이 연구됐고, 지난해 11월 '레카네맙' 약물이 3상 임상연구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거뒀다고 알려졌다.

    이 약물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없앨 수 있고, 인지기능 저하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뇌 부종도 기존의 약물보다 적게 나타난다.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질환에서 근본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약이 나왔다는 것에 의학계는 사실상 첫 치매 신약이 탄생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박기형 교수는 "아직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약제 개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며 "이제 치매 증상이 생기지 않고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어 알츠하이머병이 치료가 안 되는 병이라는 개념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다만 레카네맙은 상대적인 인지 저하 속도 지연에 있어 효과를 증명했기 때문에 '완치' 개념과는 거리가 있고, 일부 유전자형에서 뇌 부종 발병률의 상승, 가격까지 변수로 남아있어 과도한 기대는 금물이다.

    이에 생활습관을 개선해 알츠하이머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박 교수는 "운동, 음식, 술·담배 등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그중에서도 운동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됐다"며 "땀이 날 정도의 고강도 운동을 하루 최소 30분 이상 일주일에 3~4회 권장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40세 이후부터 호흡이 가빠질 정도의 고강도 걷기 운동을 하면 치매를 일으키는 퇴행성 뇌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알츠하이머 예방에 도움이 되는 음식에 대해서는 "야채, 견과류, 현미 등 잡곡류와 등푸른 생선이 도움이 되고, 육류, 패스트푸드, 튀긴 음식을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본적이지만 실천하기 어려운 것들"이라며 "그래서 치매를 '평생 조절하는 병'이라고 부르는 것"이라고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