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이창용 "물가 잡혀가는 모습이었는데…유가·美금리 상승으로 답답"



경제정책

    이창용 "물가 잡혀가는 모습이었는데…유가·美금리 상승으로 답답"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 국정감사에서 이창용 총재가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 국정감사에서 이창용 총재가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기준금리를 (그간) 3.0%포인트나 올리면서 물가가 좀 잡혀가는 모습이었는데, 다시 유가와 미국 금리가 올라 좀 답답해졌다"고 털어놨다.

    그는 이날 한은 대상 국정감사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금통위원들이 며칠 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가장 중요하게 논의한 것은, 저희(한은·금통위)가 예상했던 물가 패스가 하마스 사태에도 불구하고 유지될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물가(소비자물가 상승률)가 (9월) 3.7%까지 올라갔으나 하마스 사태 전에는 저희가 다시 연말까지 3% 수준으로 내려오고 내년 더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중동 사태로 그 예측이 안 맞고 물가가 더 올라갈 가능성이 커졌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이날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1%대 성장이 특별한 경우 말고는 없었던 것 같은데 경기 침체에 돌입한 것 아닌가"란 질문에 "현재 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낮기 때문에 경기 침체기가 맞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 경제가 '최악의 상황'이라는 서영교 의원의 주장에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최악 상황이라는 데는 동의하기 어렵다"며 "선진국을 보면 우리나라 경제 수준이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보다는 양호한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아울러 다음 달 발표할 한은의 수정 경제 전망과 관련해서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4% 정도에서 움직일 것 같고, 좀 내려가거나 조정될지는 자료를 봐야 할 것 같다"며 "내년 성장률은 저희(한은)가 2.2%로 예상했는데, 중국 경제와 중동 사태 등이 앞으로 한 달 정도 어떻게 전개되는지 보고 원점에서 다시 한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