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4주(2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 제공최근 집값의 가파른 회복과 이어지는 고금리 기조 등의 영향으로 집값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이번주(2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5% 상승, 전세가격은 0.13% 상승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7%) 대비 상승폭 줄었다. 수도권(0.11%→0.08%)과 서울(0.09%→0.07%), 지방(0.03%→0.02%)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강남권의 경우 영등포구(0.14%)가 여의도·당산동 위주로, 강동구(0.14%)는 고덕·상일동 위주로, 강서구(0.12%)는 마곡·내발산동 주요단지 위주로, 송파구(0.10%)는 송파·가락동 위주로, 금천구(0.09%)는 독산·시흥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북권에서는 성동구(0.16%)가 금호·성수동 위주로, 용산구(0.14%)는 이촌·한남동 주요단지 위주로, 중구(0.12%)는 신당·황학동 위주로, 동대문구(0.11%)는 답십리·장안동 위주로, 광진구(0.09%)는 구의·광장동 위주로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적었던 지역‧단지 위주로 실수요 중심의 거래가 이어지고 있으나, (매도자와 매수자 간) 거래 희망가격 격차로 매수자의 관망세가 나타나는 등 혼조세 양상 보이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인천도 이번주 0.02% 오르며 전주(0.05%)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중구(0.28%)가 운서‧중산동 신도시 선호단지 위주로, 남동구(0.09%)는 논현·서창동 (준)신축 위주로, 서구(0.08%)는 신현·청라동 신도시 위주로 상승했지만 부평구(-0.09%)는 입주물량 부담으로 부평·산곡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경기도 이번주 0.09% 오르며 전주(0.13%)보다 상승세가 잦아들었다. 안양 동안구(0.30%)가 관양·호계동 개발호재 지역 위주로, 화성시(0.25%)는 병점·반송동 위주로, 안산 단원구(0.24%)는 초지·선부동 역세권 단지 위주로, 하남시(0.23%)는 망월·감일동 신도시 위주로 상승했지만 양주시(-0.11%)가 덕정·고암동 구축 위주로, 동두천시(-0.11%)는 생연·상패동 위주로 하락했다.
실수요 지표로 꼽히는 전세가격 상승률도 둔화됐다. 이번주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0.13% 오르며 지난주(0.15%) 대비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0.18%→0.18%)은 상승폭을 유지했지만 수도권(0.26%→0.24%)과 지방(0.05%→0.03%)은 상승폭이 축소됐다.
박종민 기자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은 전주에 이어 이번주에도 0.18% 올랐다. 강남권에서는 양천구(0.30%)가 목·신정동 위주로, 강서구(0.26%)는 가양·방화동 주요단지 위주로, 구로구(0.21%)는 신도림·개봉동 역세권 위주로, 영등포구(0.19%)는 문래·당산동 위주로, 서초구(0.19%)는 서초·반포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북권에서는 성동구(0.44%)가 금호·행당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대문구(0.32%)는 남가좌·북가좌동 대단지 위주로, 은평구(0.26%)는 수색·진관동 위주로, 광진구(0.24%)는 구의·광장동 역세권 위주로, 용산구(0.22%)는 이촌·도원동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은 이번주 0.10% 오르며 전주(0.15%)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중구(0.27%)가 운서‧중산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구(0.25%)는 정주여건 양호한 원당‧청라동 위주로, 남동구(0.20%)는 간석·서창동 대단지 위주로, 연수구(0.05%)는 청학동 구축 및 송도신도시 위주로, 계양구(0.01%)는 귤현‧계산동 위주로 상승했다.
경기 역시 이번주 0.31% 오르며 전주(0.33%)보다 상승세가 주춤해졌다. 화성시(0.91%)가 석우·목동 등 동탄신도시 위주로, 고양 덕양구(0.56%)는 화정‧행신동 구축 위주로, 안양 동안구(0.51%)는 평촌‧비산동 위주로, 하남시(0.51%)는 선·망월동 등 미사강변도시 위주로, 용인 기흥구(0.49%)는 교통환경 양호한 동백·신갈동 위주로, 안산 상록구(0.45%)는 월피·사동 위주로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은 "매매 시장의 불확실성 등으로 주택 실수요자들의 전세 선호가 이어지는 가운데, 역세권 및 대단지 등 선호 단지·지역 위주로 신혼 부부 등 임차 수요가 이어지며 서울 전체 (전세가격) 상승세가 지속됐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