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한국 국민소득 'G7'과 격차 벌어진다



경제정책

    한국 국민소득 'G7'과 격차 벌어진다

    2020년 이탈리아 앞서기도 했지만 2년 연속 뒤져
    1년새 G7 중 일본과 격차만 약 2천달러 줄어

    위 사진은 아래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위 사진은 아래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최근 수년간 원화 가치가 떨어진 데다 성장 부진까지 겹쳐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과 선진국 그룹인 주요 7개국(G7)의 격차가 확대되는 모양새다. 2020년 G7의 일원인 이탈리아를 앞섰던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2년 연속 뒤처졌다.

    30일 한국은행의 '금융·경제 스냅샷' 서비스에 따르면, 세계은행(WB) 최신 통계 기준2022년 한국의 1인당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3만5990달러로 집계됐다.

    세계은행은 각국 1인당 GNI 산출 과정에서 '아틀라스 산출법'에 따라 직전 3개년 평균 시장환율을 적용했다.

    이탈리아는 3만7700달러로 G7 가운데 가장 적었지만, 우리나라보다는 1710달러 많았다.

    코로나19 충격으로 이탈리아의 성장률이 -9%(실질GDP 기준·한국 -0.7%)까지 추락하면서 2020년 일시적으로 역전했다. 그러나 2021년 이탈리아에 1020달러(이탈리아 3만6130달러·한국 3만5110달러) 뒤졌고, 작년 차이가 1710달러로 벌어졌다.

    지난해 우리나라와 이탈리아의 국민소득 격차가 더 커진 것은 환율과 성장률, 물가 등의 차이 때문이다.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한은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지난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291.95원으로, 2021년 연평균(1144.42원)에 비해 달러 기준 12.89% 절하, 가치 하락됐다.

    이탈리아가 사용하는 유로화도 달러 대비 가치가 떨어졌지만, 절하율이 10.97%(2021년 연평균 1.183달러·유로→2022년 연평균 1.053달러·유로)로 원화보다는 낮았다.

    경제 성장 측면에서도 이탈리아는 우리나라를 앞섰다. 지난해 이탈리아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보다 3.7% 늘어 성장률이 우리나라(2.6%)보다 1%포인트 이상 높았다. 명목 1인당 GNI에 반영되는 물가(GDP디플레이터)도 이탈리아에 유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이탈리아(8.2%)가 한국(5.1%)을 상당 폭 웃돌았다.

    이탈리아뿐 아니라 다른 G7 국가들과의 소득 격차도 좁혀지기보다 더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G7 각 나라의 1인당 명목 GNI와 한국과의 1년 사이 격차 범위는 1020~3만5790달러에서 1710~4만380달러로 전반적으로 높아졌다.

    국가별로 유일하게 일본(+8,340달러→+6,450달러)을 제외하고 6개 나라가 모두 한국과의 국민소득 차이를 벌렸다.

    올해 한국이 다시 이탈리아를 추월할 수 있을지 여부는 결국 성장률에 달렸는데, 환율과 물가 모두 유리한 상황은 아니다.

    유로화 가치는 달러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높아진 반면, 원·달러 환율의 경우 올해 약 1.57%(작년 연평균 1291.95원→올해 평균 1312.2원) 추가로 상승하면서 원화 가치가 하락해 달러로 국민소득을 환산할 경우 더 손해를 보았다.

    명목GDP를 늘릴 물가도 한국이 이탈리아보다 적은데, 올해 1·2·3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의 경우 한국이 각 4.7%, 3.2%, 3.1%로 이탈리아(8.9%·7.4·5.6%)를 크게 밑돈다.

    따라서 한국 경제 성장세가 환율·물가 변수를 상쇄할 만큼 이탈리아보다 월등히 강해야만 뒤집을 수 있는 상황이다.

    이탈리아 정부는 최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에서 0.8%로 낮췄고, 한국 정부는 아직 1.4%를 유지하고 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