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전장연, 김포공항 찾아 "장애인도 비행기 타고 싶다"



사건/사고

    전장연, 김포공항 찾아 "장애인도 비행기 타고 싶다"

    전장연 "장애인에게 비행기는 여전히 높은 장벽일 뿐"
    "해외 항공사는 전동휠체어 이용자 전용 좌석 있어"
    "휠체어 탄 채로 기내 장애인용 화장실 이용하는데 제약"

    박경석 상임공동대표. 연합뉴스박경석 상임공동대표. 연합뉴스
    버스, 지하철의 장애인 배제·차별 문제를 지적해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이번에는 장애인의 '비행기 이동권'을 보장해달라고 요구하기 위해 김포공항을 찾았다.

    1일 전장연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역에서 선전전을 진행한 후 김포공항으로 이동해 기자회견을 열고 "비장애인에게 비행기는 물리적 거리의 이동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이동수단이지만, 장애인들에게는 여전히 높은 장벽일 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장애인 이동권 기다리란 말은 이제 그만, 지금 당장 보장하라'라는 팻말을 목에 건 이들은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의 각 항공사는 장애인이 비행기에 탑승하는 데 정당한 권리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차례 휠체어를 갈아 타야만 비행기를 이용할 수 있거나 전동휠체어의 종류에 따라 탑승을 제약당하기도 한다"며 "마치 범죄자라도 된 것처럼 자신의 전동휠체어에 대해 상세히 보고해야 탑승할 수 있다"고 토로했다.  

    국내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승객용 서비스가 충분치 않다고도 했다. 이들은 "전동휠체어 이용 장애인은 좁은 비행기 좌석 탑승과 그 이동을 위해 별도의 기내용 수동 휠체어로 바꿔 타야만 한다"며 "이 경우에도 보조 장치인 호이스트 등의 설비가 마련되지 않아 승무원이 직접 장애인 당사자의 신체를 옮기는 등 탑승 과정에서 부상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외 항공사에서는 전동휠체어에 탄 채로 좌석을 이용할 수 있는 전동휠체어 이용자 전용 좌석을 마련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국내 항공사는 해당 시설이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또 휠체어에 탄 채로 기내 장애인용 화장실을 이용하기에는 화장실이 너무 좁고 실질적 이용에 제약이 있어 장애인들이 장거리 이동에서 생리적 문제를 겪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장연 박경석 대표는 이날 장애인이 집에서 출발해 공항까지 이동하는 데 대한 어려움도 말했다.

    그는 "비장애인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하지만, 우리는 지하철밖에 생각할 수가 없다"며 "공항 버스는 불행히도 1대도 이용할 수 없다. 특별교통수단이 있어 서울에서 신청하면 인천공항까지는 가지만 인천공항에서 서울로 오는 방법은 막혀있다"고 했다.

    전장연은 '장애인 비행기 이동권 보장'을 위해 △휠체어 접근 가능한 기내 편의시설 확보 △이용자 체격 고려한 기내용 휠체어 종류 다양화  △좌석간 거리 넓은 좌석 무료제공 및 와상 장애인 좌석 보장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한국공항공사를 찾아 '한국공항공사 사장 면담 요청서'를 전달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