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12월 아파트 입주 전망, '공급 부족' 서울 개선 '외지인 투자' 지방 악화



부동산

    12월 아파트 입주 전망, '공급 부족' 서울 개선 '외지인 투자' 지방 악화

    "서울은 공급 절벽…외지인 매수 상위 지역, 아파트 입주 전망 악화"

    박종민 기자박종민 기자
    12월 서울 아파트 입주 전망이 전월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은 악화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11월 대비 12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국적으로 1.2p(72.9→71.7) 하락할 것으로 조사됐다고 12일 밝혔다. 수도권은 1.5p(80.1→81.6) 소폭 상승한 반면, 광역시는 2.1p(76.5→74.4), 도지역은 1.5p(67.5.6→66.0) 하락할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중 서울은 13.9p(83.3→97.2) 입주전망지수가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인천은 6.7p(80.7→74.0)하락했다.

    주산연은 "서울과 인천은 모두 12월 아파트 입주 물량이 없는 상태이나 서울은 여전히 입주 수요가 높은 지역으로 입주전망 개선요소가 있는 반면, 인천의 경우 12월 대규모 입주 예정이었던 아파트 내 시공 문제 발생으로 악화요소가 맞물리면서 입주전망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방 중 대구는 입주전망지수가 대폭 하락(16.9p, 86.9→70.0)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올해 적정 수요 대비 많은 입주 물량이 공급돼 전셋값이 낮아지면서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수분양자들이 잔금을 치르지 못해 지난 10월 이후 입주전망지수가 연속 하락(2023년 10월 95.2→11월 86.9→12월 70.0)하고 있다.

    주산연은 "12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지난 9월 올해 최고치(2023년 9월 95.6)를 기록한 이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며 "특히 올해 수도권 및 일부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아파트 거래 회전율은 작년에 이어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주택시장 침체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는 고금리 장기화와 매도자, 매수자 간의 거래 희망 가격 간극차 등으로 주택 구매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이에 더해 내년 아파트 입주 물량은 올해보다 더 적을 것으로 전망돼 수도권 및 인기 광역시 지역의 경우 공급 부족으로 인한 전셋값 상승과 그에 따른 잔금 대출 미확보가, 그 외 지방의 경우 기존 과잉 공급으로 인한 미분양 재고와 수요 부재로 인한 매매시장 활력 저하가 우려돼 이에 따른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11월 전국 입주율은 72.3%로, 10월 대비 1.4%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80.7%에서 81.1%로 0.4%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인 5대 광역시는 68.4%에서 70.1%로 1.7%p, 기타지역은 69.2%에서 70.7%로 1.5%p 상승해 수도권과 지방 모두 입주율이 소폭 상승했다.

    세부적으로는 서울 입주율이 전 월 대비 2.7%p(82.2→84.9) 상승한 반면, 인천·경기권은 0.6%p(79.9→79.3) 소폭 하락했다.

    주산연은 "서울은 준공과 입주 물량이 감소하면서 수요 대비 공급절벽을 겪고 있어 이에 새롭게 분양을 시작한 아파트들 사이로 수요자들이 몰리면서 입주율이 상승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인천·경기권은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률이 하락하는 가운데 거래량이 정체되면서 입주율이 소폭 하락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지방의 경우 대전·충청권은 8.7%p(65.1→73.8) 대폭 상승한 반면, 광주·전라권은 6.1%p(74.3→68.2) 하락했다.

    주산연은 "충청권은 거주자 평균 연령이 낮고 지역 성장 가능성이 높아 외지인의 아파트 매수 상위 지역으로 거래가 활발해 외지인의 아파트 매매 투자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광주·전라권은 지난 달 급격한 입주율 상승(2023년 9월 62.9→10월 74.3, 11.4%p 상승)에 대한 조정을 받아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입주 원인은 △세입자 미확보(16.7%→26.0%) △기존 주택매각 지연(41.7%→44.0%) △잔금대출 미확보(20.8%→22.0%)는 늘었고, 분양권 매도 지연은 10.6%p(14.6→4.0) 줄었다.

    주산연은 "미입주 원인의 증가는 특례보금자리론 대상 축소와 고금리 기조 지속, 주택공급물량 감소 및 전셋값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면서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거래 희망 가격 격차 확대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