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진 영향에 높아진 파도. 연합뉴스 동해와 맞닿은 일본 도야마현 북쪽 해역에서 지난 1일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한 가운데 31년 만에 국내에도 지진해일이 발생하면서 동해안 지역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했는데도, 일부 주민·관광객이 경고를 무시하고 해안가에 접근하는 사례가 속출했다. 전문가들은 지진해일 위험에 노출된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더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진해일 재난안전문자 경고에도…일부 해안가 남아 서핑·캠핑·낚시
위 사진은 아래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스마트이미지 제공4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행정안전부는 지난 1일 오후 4시 36분 기상청의 최초 지진해일 예보에 따라 곧바로 비상대응반을 꾸리고 긴급 대응에 나섰다. 같은 날 오후 4시 10분 일본 도야마현 북쪽 90km 해역에서 규모 7.6 지진이 발생해 기상청이 강원 일부 해안에 지진해일이 일어날 수 있다고 예보했기 때문이다.
강원도 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강원도청은 동해안에 설치된 자동음성통보 장치를 통해 이날 오후 5시 5분과 6시 20분에 두 차례 걸쳐 지진해일 경고 방송을 했다. 또 오후 5시 11분과 오후 6시 13분 두 차례에 걸쳐 해안가 접근을 자제하라는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했다. 시군 단위 지자체에서도 마을방송을 42회 내보내고, 재난안전문자를 9건 발송했다.
지진해일이 24시간 넘게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내려진 상황 속에 경찰과 소방 등은 이날 오후 5시 30분쯤부터 비상 인력을 동원해 강원도와 경북 포항 등 주요 관광지와 해안가 주변을 통제했다.
이처럼 정부와 지자체가 수차례에 걸쳐 지진해일의 위험을 경고했지만, 해안가 저지대에 그대로 남아 캠핑·낚시는 물론 서핑까지 하는 사례도 곳곳에서 발견됐다.
강원특별자치도 소방본부는 당일 오후 근무자를 제외한 비번자 중 30%인 293명을 동원해 해안가를 순찰한 결과, 124차례나 캠핑객과 낚시꾼 등을 안전지대로 대피·유도해야 했다.
또 속초해양경찰서도 같은 날 오후 5시 30분쯤 강원도 양양 물치해변에 서퍼들이 남아있어 위험해 보인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해 이들을 물 밖으로 나오도록 조치하기도 했다.
재난안전문자 이외 대응 미흡…대피소 안내판 관리도 허술
이처럼 지진해일 경고에도 일부 관광객을 중심으로 해안가에 접근했던 이유로 재난안전문자 이외에는 실제 현장에서 시민들을 대피시킬 수 있는 조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동해안 지역에서 서핑샵을 운영하는 A씨는 "지진해일 발생 재난안전문자 이외 별다른 조치는 없었다"며 "(사람이 직접 안내하지 못하고) 표지판으로 전부 대체하고 있다. 주민 대부분이 연세 많은 어르신이어서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또 "지자체에서 마을 단위로 재난상황을 알리면 각 마을 이장이 나와 대피 조치를 해야 했는데, (실제 현장에서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해수욕장 캠핑객들은 (마을 이장이 대피 지시를 하면) '왜 나가라고 하지'하고 무시하는 식"이라고도 전했다.
동해안에는 지진해일이 오면 주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장소와 대피장소까지의 거리 등을 알리는 대형 안내판이 해안가를 따라 곳곳에 설치돼있다. 하지만 설치된 지 오래돼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강원도청에 따르면 강원 해안가에 설치된 지진해일 대피 안내판은 총 148개다. 해안가를 따라 길이만 318km가 넘는 지역을 포괄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긴급대피장소까지 안내하는 대피로 표지판도 2419개에 불과했다. 일부 표지판은 오히려 최단거리 대피소로 가는 길의 반대 방향으로 안내하고 있어 사고를 조장할 정도다.
이와 관련해 강원도청 자연재난과는 오는 8일 지진해일 관련 긴급 점검을 할 예정이다.
큰 규모 여진 땐 추가 지진해일 가능성…"대피소 안내 등 재난문자 상세화 필요"
전문가들은 특히 지진해일 피해 가능성이 큰 강원 동해안의 경우 신속히 관련 정보를 알릴 뿐 아니라, 대피 안내 시스템도 정비해 주민과 관광객이 제때 대피할 수 있도록 보강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기상청 박순천 지진화산연구과장은 "결국 지진해일이 발생했을 때 주민이 어떻게 대피하느냐가 중요하다"며 "지진해일 1보가 나갔을 때 대피할 수 있게 신속하게 전파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과장은 "현재 발생하고 있는 여진은 지난 1일 발생한 지진보다 규모가 작은 상황이기 때문에 지진해일을 일으키기는 어렵고 우리나라에도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박 과장은 "여진이라도 규모가 아주 커지는 경우는 지난 1일처럼 지진해일 가능성이 있어 발표된 정보에 따라 대피할 수 있도록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우석대 공하성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경주 지진 이후로 매뉴얼이 만들어지고 이론 교육은 이뤄지고 있으나 재난 발생 때 활용하기 쉽지 않다"며 "미국 같은 경우 불시에 재난 훈련을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또 "재난 발생 때 대피 방법과 가까운 대피소를 안내하는 등 좀더 상세한 재난안전문자 발송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