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사진 보고 설명 가능한 AI"…카카오 '허니비' 첫 공개



IT/과학

    "사진 보고 설명 가능한 AI"…카카오 '허니비' 첫 공개

    5차 AI 최고위 전략대화에서 개발 완료 밝혀
    미공개 LLM '코지피티 2.0'과 다른 모델

    허니비 화면. 카카오브레인 제공허니비 화면. 카카오브레인 제공
    카카오가 '멀티모달(복합정보처리) 대규모 언어모델(MLLM)'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인공지능(AI)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 정부와 각계 기업 대표들이 머리를 맞댄 자리에서다.

    19일 서울 여의도 FKI(옛 전경련회관)에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 5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에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 내정자는 MLLM '허니비(Honeybee)' 개발을 완료한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

    MLLM은 이미지와 명령어(프롬프트)를 입력하면 텍스트로 답변하는 모델로, 기존 텍스트로만 입·출력하는 거대언어모델(LLM)에서 확장된 형태다. 구글의 '제미나이'나 오픈AI의 'GPT-4'가 대표적인 MLLM으로 꼽힌다.

    가령, 허니비에 '농구 경기 중인 두 명의 선수' 사진과 함께 '왼쪽 선수는 몇 번 우승했나요?'라는 질문을 입력하면 허니비가 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답변을 생성한다. 질문 입력은 영어로만 가능하다.

    카카오는 2021년 LLM '코지피티'(KoGPT)를 공개했으며 이를 개선한 '코지피티 2.0'을 작년 연말 개발해 현재 공개 방식을 검토 중인데, 이와는 별도의 MLLM을 개발해 공개한 것이다.

    카카오는 이날 오전 허니비 모델의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소스 코드를 개발자들의 온라인 오픈소스 플랫폼인 깃허브(Github)에 공개했다. MLLM에 대한 연구는 공개된 모델의 수가 적고, 학습 방법 역시 자세히 공개되지 않아 개발이 어려운 상황인 점을 고려했다고 카카오는 설명했다.

    한편,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에는 국내 AI 산업을 이끄는 초거대 AI 기업 뿐 아니라, 뷰티, 가전, 제조, 통신, 스타트업 등 각 분야 기업 대표들이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였다.

    이날 행사에서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AI 일상화' 시대에 기여하는 AI 모델과 서비스 개발 노력 등을 소개했다.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는 AI를 피부 유전자 분석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했고,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는 로봇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술과 AI를 융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통신과 가전 업계를 대표해 김영섭 KT 대표와 용석우 삼성전자 TV 사업부 사장이 토론에 참석했고, CES에서 혁신상을 받은 5개 AI 스타트업 대표들도 자리를 함께했다. 토론에 앞서 정보통신산업기획평가원(IITP)이 CES 2024 리뷰 등 최신 AI 동향을 발표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