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대통령실 "캄보디아, 韓 기업 위한 특별경제구역 설정 제안"



대통령실

    대통령실 "캄보디아, 韓 기업 위한 특별경제구역 설정 제안"

    한·캄보디아 정상회담 결과 관련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브리핑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 도착한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를 맞이하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 도착한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를 맞이하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16일 한·캄보디아 정상회담에서 캄보디아 측이 우리나라 기업만을 위한 특별경제구역(SEZ·Special Economic Zone) 설정 계획을 제안해 왔다고 밝혔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한국의 자동차, 전자 관련 기업들이 활발하게 투자하면서 마음껏 캄보디아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보자는 제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양국은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과 캄보디아 투자 총괄 주무 기관인 캄보디아 개발위원회가 파트너가 되는 정례협의체를 신설해 SEZ 구상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김 차장은 "이 협의체를 통해 SEZ를 어떻게 계획하고 준비할지 논의도 가능할 것"이라며 "특히 현지의 우리 기업 진출 여건을 개선하고, 관련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는 창구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캄보디아는 이미 일본을 비롯한 다른 선진국에도 비슷한 제안을 해오고 있는데, 이를 어떻게 구체화해 발전시킬지는 당사국 간 협의가 중요하다"며 "현지 기업의 애로사항, 보완·발전시킬 요소를 정확히 파악해 반영하고 우리 구상이 실제로 집행되도록 하고, 캄보디아가 투입하고 거둘 자산이 뭔지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인프라 협력 분야에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공여기간을 연장하고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 기간은 기존 2022~2026년에서 2022~2030년으로 늘어나고, 금액은 15억 달러에서 30억 달러로 확대된다. 김 차장은 "이를 사용해 우리 기업이 캄보디아의 더 넓은 운동장에서 뛰고, 투자하고, 개발하고 연구해 우리의 기회, 일자리, 산업 성장에 더 큰 공간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EDCF는 차관 형태로, 길게 보면 효과가 우리에게 돌아오는 중장기적 투자라고 볼 수 있다"며 "기존의 인프라 사업도 있지만, 앞으로 디지털, 친환경 녹색기술, 미래청년 인력개발 프로그램 등 고부가가치 협력 분야를 좀 더 시간을 갖고 깊이 있게 하자는 의미"라고 말했다.

    아울러 대통령실은 2022년 12월 우리나라와 캄보디아 간 FTA(자유무역협정)가 발효된 뒤 양국의 교역 규모가 꾸준히 성장해 지난해 10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차장은 "앞으로는 양국 간 전통적 협력 콘셉트를 미래지향적으로 업그레이드해 디지털, 친환경, 인적 개발·교류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행하는 것까지 한 단계 도약해 가기로 했다"며 "(캄보디아 현지의) '우정의 다리' 건설은 계속 추진되고 있고, 내년 말 한국이 들어가 착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