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영상]상시근로자가 4.2명? 사람도 소수점이 있나요?[갑질상담소]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노동

    [영상]상시근로자가 4.2명? 사람도 소수점이 있나요?[갑질상담소]

    • 2024-06-11 16:33
    갑질상담소

    '직장갑질119' 대표 윤지영 변호사와 정다운 기자, 그리고 서정암 아나운서가 함께하는 상담소! 여러분의 많은 제보와 관심 바랍니다. 세상의 모든 직장갑질이 사라질 때까지 갑질상담소와 함께해요!

    "우리 회사 상시근로자 수는 4.2명이라 연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상시근로자 계산법을 알고 계신가요? 상시근로자 수는 직장 내 근로하는 인원의 수가 아니라 사업장에서 한 달 동안 근로한 인원수의 총합을 운영일 수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갑질상담소' 유튜브 실컷 Sil-Cut 캡처
    우리의 상식과는 전혀 다르지만, 인원수가 소수점으로 나오기도 하는 이 계산법이 근로기준법에서 정하고 있는 '상시 고용 근로자 수 계산법'입니다. 예를 들어, 한 사업장이 한 달 중 20일간 운영을 했다고 했을 때 어느 날은 3명, 또 다른 날은 4명 이렇게 근무 인원이 달랐을 경우 근로한 인원수를 모두 더해 사업장 운영일 수인 20으로 나누어 나온 값을 상시근로자 수로 정한다는 것입니다.

    '갑질상담소' 유튜브 실컷 Sil-Cut 캡처
    상시 고용 근로자 수 계산법이 중요한 이유는 5인 미만 사업장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근로기준법 제60조에서 정하고 있는 연차 유급휴가 규정에 따르면 근로 기간 1년 미만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에 1일 유급휴가 제공, 1년 이상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 보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5인 미만 사업장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갑질상담소' 유튜브 실컷 Sil-Cut 캡처
    이렇게 상시근로자 수에 따라 달라지는 보장 범위, 우리가 상시근로자 계산법을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이번 갑질상담소에서는 왜 우리 회사가 5인 미만 사업장으로 분류되었고 이에 따라 피해를 봤던 을들의 사연과 연차 사용을 제지했던 '갑질' 내용까지 다루어 보았습니다. 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시죠.

    '갑질상담소' 유튜브 실컷 Sil-Cut 캡처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