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코로나19 확산세 '다음주 절정'…지친 응급실 "답이 없다"[박지환의 뉴스톡]

보건/의료

    코로나19 확산세 '다음주 절정'…지친 응급실 "답이 없다"[박지환의 뉴스톡]

    ■ 방송 : CBS 라디오 '박지환의 뉴스톡 530'
    ■ 채널 : 표준FM 98.1 (17:30~18:00)
    ■ 진행 : 박지환 앵커
    ■ 패널 : 김정록 기자


    [앵커]
    최근 재유행하는 코로나19의 기세가 이달 말 정점을 찍을 것으로 방역당국이 전망했습니다. 의대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료공백 사태가 이어지면서 응급실 대란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출입하는 김정록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 기자.

    [기자]


    [앵커]
    코로나19 유행이 심상치 않은데요. 방역 당국의 전망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코로나19는 지난 6월 말부터 증가 추세로 전환된 뒤 여름철 유행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질병관리청은 올여름 코로나19 유행이 이달 말까지 정점을 찍고 사그라들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이달까지는 예년 정점 규모인 약 35만 명 수준까지 증가하다가 다음달부터 점차 감소한다는 예측입니다.

    방역당국은 이번 코로나19 유행 원인으로 크게 두 가지를 꼽았는데요. 우선, 지난해 겨울 코로나19 유행이 크지 않았잖아요. 그래서 예방접종률이 비슷한 시기 시작된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보다 크게 낮았고요.

    또 최근 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오미크론의 자손 격인 KP.3 점유율의 상승세도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있습니다.

    [앵커]
    정점을 찍는 다음주가 고비가 되겠네요. 그런데 이번 코로나19는 얼마나 위험한가요?

    [기자]
    특정 질환으로 사망한 환자 비율인 '치명률'은 아직까지 계절독감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지난 4년간 코로나19의 누적 치명률은 0.1%였는데, 특히 오미크론 변이 이후인 지난해 국내 코로나19 치명률은 0.05%로 더 낮습니다. 연령별로 코로나19 치명률을 보면 50세 미만은 0.01% 이하로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닙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지영미 질병청장의 설명 들어보시죠.

    [인서트]
    "현재 유행 상황은 지난 2020년부터 2022년 코로나19 대유행과 같은 위기 상황이 아닌 코로나19가 엔데믹화되는 과정의 일환으로 봐야 합니다."

    다만 60세 이상부터 치명률이 높아지고, 특히 80세 이상은 1.75%로 급격히 높아집니다.

    [앵커]
    고령자와 기저질환자 같은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일이 중요하겠네요. 코로나19도 위기인데, 의료공백으로 응급실 대응도 어려운 상황이잖아요?

    [기자]
    네,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면서 응급실도 취약해졌습니다.

    응급실에 내원한 코로나19 환자는 6월 약 2200명에서 7월 약 1만1620명으로 중증 경증 환자 모두 증가했는데요. 최근에는 격리실이 부족하다며 코로나19에 걸린 환자의 전원이 필요한 경우에도 받아주는 병원이 거의 없는 수준입니다.

    며칠씩 밤샘 당직을 하면서 전공의들의 공백을 메워 온 교수들은 코로나19 확산세가 더 이어질 경우 '답이 없다'고 호소할 지경입니다. 수도권의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 중인 한 감염내과 전문의는 "코로나로 인한 환자 증가와 진료현장의 의료진 공백이 중첩되며 양쪽에서 '협공'을 받는 느낌"이라며 "정신적으로 너무 괴롭다"고 말했습니다.

    코로나19 치료제가 부족해 치료를 빨리 못할 경우를 우려하기도 했습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숩니다.

    [인서트]
    "그러니까 이제 응급실에 있는 선생님들은 (응급실에 온 확진자가) 고위험군들인데 항바이러스제를 안 주고 보냈다가 나빠져가지고 문제가 될까 봐 굉장히 불안해해요."

    [앵커]
    정말 엎친 데 덮친 격이네요. 정부는 현재 응급의료 위기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나요?

    [기자]
    정부는 현 응급의료 대응이 쉽지 않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응급실 뺑뺑이'가 증가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일부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의료계 집단행동의 영향으로 부분적 진료 제한이 있었던 기관은 응급의료기관 408개소 중 5곳으로 1.2% 수준이라는 겁니다.

    일시적으로 응급실 운영에 제동이 걸렸던 충북대병원·속초의료원은 현재 응급의료가 정상 가동되고 있고, 순천향대 천안병원과 단국대병원도 다음달 정상화를 앞두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최근 응급실 내원 환자의 44%는 경증 또는 비응급 환자이고, 이 중 코로나 확진자 비율은 약 7%라고 언급했습니다.

    [앵커]
    그래도 코로나19 환자가 계속 증가하고, 의료현장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서 마음을 놓을 수는 없는 문제인 것 같은데요. 정부도 대책을 준비하고는 있죠?

    [기자]
    우선 정부는 응급환자를 다소 여력이 있는 관내 의료기관으로 보내 환자를 분산하겠다고 했습니다. 또 지자체와 협력해 공공병원을 활용하겠다고 했는데요.

    복지부 유보영 질병정책과장의 설명 들어보시죠.

    [인서트]
    "(응급실로) 야간에 발열 환자들이, 코로나 환자들이 많이 방문하는 것으로 분석이 돼서요. 이 부분은 저희가 이번 주까지 지자체 협력을 통해서 지방의료원 등 공공병원에서 야간, 주말 진료를 할 수 있는 병원 리스트를 받을 계획입니다."

    앞서 코로나19 거점병원으로 지정·운영됐던 공공병원 등을 협력병원으로 지정해 확진자를 더 적극 치료하겠다는 건데요.

    해당 병원들이 경영난으로 임금체불 위기에 처한 점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앵커]
    정부도 '땜질'식 대책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네요. 다음주 코로나19 절정을 앞두고,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를 쓰는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듣죠.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