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구 일대 아파트 모습. 박상희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년 반 만에 '빅컷'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하면서, 부산의 대표적인 인기 주거지인 해운대구, 수영·남구 등의 아파트 가격 상승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금리 인하가 부산을 비롯한 국내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 연준은 지난 17~18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도 금리 인하로 정책 기조를 변경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리가 인하될 경우, 그동안 고금리로 인해 침체했던 부산 부동산 시장이 조금씩 활기를 되찾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부산지역은 이미 상반기부터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일부 지역에서 거래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해운대·수영·남구 등 인기 지역에서 아파트 거래량이 늘어나며, 가격 상승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부산 아파트 거래량 3천 건 돌파… 인기 지역 중심으로 거래 활발
지난 7월, 부산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3개월 만에 3천 건을 넘어섰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구·군별로는 해운대구 368건, 남구 233건, 수영구 165건으로 각각 전월 대비 40% 이상 거래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주요 인기 지역에서 매수세가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부동산원이 제공한 부산 아파트 매매 거래량을 부동산서베이가 그래프로 나타낸 표. 부동산서베이 제공부동산서베이가 분석한 2018년 5월부터 최근까지 6년간 부산 아파트 매매량 데이터를 보면, 거래량이 2500건 이하일 때는 가격이 하락했으나, 2500~3천 건 사이에서는 보합세, 3천 건 이상일 때는 상승세를 보였다. 7월 거래량 급증은 부산 아파트 시장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표로 해석된다.
부동산서베이 이영래 대표는 "3천 건 돌파는 부산 부동산 시장이 회복 중이라는 신호이며, 특히 해운대와 수영구 등 인기 지역에서 매수세가 계속될 것"이라며 "미국의 금리 인하로 시중 유동성이 증가하고 이자 부담이 줄어들면서, 그동안 매수를 주저했던 수요자들이 내년 봄부터 본격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 38억 신고가 경신… 인기지역 최고가 기록
부산 해운대구 마린시티 일대의 고급 아파트들은 이미 상반기부터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서 최고가를 경신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해운대구 우동 두산위브더제니스 전용 204㎡는 지난달 12일 38억 원에 거래되며 작년 최고가를 넘어섰다.
해운대구 마린시티 일대의 고급 아파트들은 이미 상반기부터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서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마린시티 내 아파트 모습. 박상희 기자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현황에 따르면, 해운대 주상복합 아파트 롯데캐슬스타 전용 84㎡가 지난달 10억 8500만 원에 거래됐다. 불과 지난 6월에는 같은 평형이 8억 8천만 원에 거래된 바 있으며, 현재 10억 원 이하의 매물은 없는 상태다.
수영구 남천자이 전용 84㎡는 지난 7월 13억 9천만 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부산 부동산 시장의 '안테나'로 불리는 남구 대연롯데캐슬레전드 전용 84㎡는 최근 7억 4천만 원에 거래되며, 1년 전보다 1억 원가량 가격이 상승했다.
남구 초롱부동산 방이선 소장은 "6월부터 해운대·수영·남구 등 인기 지역에 대한 매수 문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미국 금리 인하가 즉각 거래로 이어진 것은 아니지만, 전화 문의는 늘었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로 매수세 기대… 대출 규제는 변수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가 부산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동아대 부동산학과 강정규 교수는 "해운대와 같은 인기 지역은 내년 봄 공급이 줄어들며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실수요자들이 금리 인하를 계기로 매수에 나설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강 교수는 "단순히 미국 금리 인하가 부산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기보다는,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가 실제로 이뤄졌을 때 가격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수도권 집값 안정을 위해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부산지역 매수세가 크게 탄력을 받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지방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