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정책고문 위촉 장면. 하윤수 전 교육감 페이스북 캡처부산시가 선거법 위반으로 중도 사퇴한 하윤수 전 교육감을 교육정책고문으로 위촉한 것과 관련해 야당과 진보 진영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17일 "(하 전 교육감에 대한)고문 위촉은 교육감 재선거와 2026년 박형준 시장 3선을 위한 사전포석이라는 의심을 피하기 어렵다"면서 "교육감 재선거로 막대한 혈세를 부담하게 만든 장본인이 하 전 교육감인데 스스로 자리를 반납하든지 박 시장이 위촉을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교육감 재선거에 나선 김석준 예비후보 캠프도 이날 성명을 내고 "부산시민과 교육계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긴 그에게 부산시 교육정책 고문이라는 직책을 맡겨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차정인 예비후보 측도 같은 날 성명을 내고 "박형준 부산시장의 하윤수 교육정책고문 위촉은 내란동조 국민의 힘 DNA의 표출"이라고 거세게 비난하며 "시민을 우롱하고 법 정신을 무시한 대단히 부적절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18일에는 전교조 부산지부도 이 같은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전교조 부산지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부산시는 부산교육에 혼란을 야기한 인물에게 면죄부를 주듯 부산교육정책의 자문을 받겠다고 한다"며 "당선을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법을 회피한 하윤수 전 교육감을 교육정책고문으로 위촉하는 것은 부산시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사태에 대한 정무적 판단에 대한 의문도 일고 있다. 심한 반발을 뻔히 예상할 수 있는데도 부산시가 굳이 임명을 강행한 배경이 무엇이냐는 것이다.
앞으로도 이 같은 반발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번 사태는 교육감 재선거를 앞둔 부산교육계에도 어떤 파장을 불러 일으킬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