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부 장관(오른쪽)과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윤병세 외교부장관이 오는 27일 유엔총회 방문 기간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각각 양자회담을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북핵 6자회담 재개 문제를 두고 한·미·일 대(對) 북·중·러 구도가 이루어진 가운데, 윤 장관이 어떤 역할을 할 지 주목된다.
정부 소식통은 17일 "케리 장관과 왕이 부장도 유엔 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할 예정이어서, 각국이 양자회담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한미·한중 외교장관 회담이 성사되면 주요 의제는 역시 북핵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중국은 북한의 비핵화라는 목표에는 의견을 같이 하고 있지만, 그 방법과 관련해 최근에는 의견 차가 더 심해진 분위기다. 미국과 강한 공조를 유지하면서 중국을 설득해야만 하는 한국의 입장이 어려워지는 형국이다.
중국은 북한의 대화 공세와 남북관계 개선 등을 이유로 6자회담 재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미국은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의지가 있다는 것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선제적 조치가 있어야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강경하게 맞서고 있다.
당장 18일 베이징에서 9.19 공동성명 발표 기념 차원에서 열리는 '1.5 트랙(반관반민) 세미나'가 이같은 미중의 입장 차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중국은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보냈지만, 미측은 실무자를 보내는 등 '급'을 낮춰 보냈다.
중국의 대화 드라이브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지만 최대한 '관'의 색채를 지우려고 한 흔적이다. 한국 역시 주중대사관 직원이 대표를 맡고 본부에서는 과장급 인사가 참석한다.
결과적으로 1.5트랙은 6자회담 재개를 주장하는 북중러 3국과 대화를 위한 대화는 하지 않겠다는 한중일 3국이 맞서는 구도가 됐다. 냉전시대의 전통적 갈등구도가 재연됐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RELNEWS:right}
이때문에 윤 장관이 케리 미 장관과는 공조 입장을 재차 확인하면서, 중국의 대화공세를 제어할 방법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변 핵시설 가동 여부도 따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는 19일 워싱턴에서도 두 장관이 만나 북핵 문제를 논의한다. 이런 과정에서 정리된 입장을 바탕으로 윤 장관은 왕이 장관을 만나, 북한 비핵화의 필요성 등 한중이 공유하는 목표를 중심으로 한국의 입장을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미측과의 회담과 관련해서는, 한일관계 경색으로 한미일 3각 공조가 느슨해진 것을 경계하는 의미에서 관계를 개선하라는 미측의 간접적 압박이 있을질 지도 관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