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노동신문)
북한 김정은 체제 들어 처음 구성된 제13기 최고인민회의가 9일 1차 회의를 개최함에 따라 논의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고인민회의는 북한 '사회주의 헌법' 상 최고주권기관으로 국방위원회,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내각 등에 대한 인사권을 가진다.
이번 회의에서 국방위와 내각 등 국가기구의 인적 개편은 물론 국가통치 시스템의 변화도 예상된다.
먼저 헌법상 국가수반인 김영남 상임위원장이 85세인 고령인 관계로 15년 만에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맞춰 상대적으로 젊은 인물이 발탁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 지난달 열린 노동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 인사결과가 반영돼 장정남 인민무력부장, 리영길 군 총참모장 등이 새로 국방위원에 이름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이 권력변동기마다 열린 최고인민회의에서 국가통치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관련 조치가 있을지 주목된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김일성 주석의 후계자로 자리를 굳혀가던 1972년 12월 열린 제5기 1차 회의에서는 개헌을 통해 주석제를 신설했다.
또 주석의 지도를 받는 중앙인민위원회를 설치, 수령의 영구통치가 가능한 유일 지배체제를 갖춰 김정일 위원장으로의 세습을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
1994년 7월 김 주석이 사망하고 김 위원장이 국방위원장에 재선출되면서 본격적인 김정일 시대를 연 1998년 9월 열린 제10기 1차 회의때도 통치 시스템의 변화가 있었다.
당시 회의에서는 헌법 개정을 통해 주석제와 중앙인민위원회를 폐지하고 국가수반으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직을 신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