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데니스 블레어 "북한 핵무기 쓰면 정권 종말 맞을 것"



국제일반

    데니스 블레어 "북한 핵무기 쓰면 정권 종말 맞을 것"

    • 2014-08-21 06:41

    "오바마 '야만적 정권은 장기적으로 자멸' 알고 있어"

     

    데니스 블레어 전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20일(현지시간) "북한이 핵무기를 쓴다면 미국이 핵무기로 보복해 정권이 종말을 맞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태평양사령관을 지낸 블레어 전 국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고 "북한이 심각한 도발을 하거나 전쟁을 하려고 한다면 그것은 정권의 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블레어 전 국장은 "북한 스스로도 대형 도발을 획책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으며 전쟁까지 가지 않을 수준의 도발을 기도하고 있다"며 "북한의 도발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북한은 이 같은 도발을 중단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미·일로부터 양보를 얻어내기 위한 게임을 하고 있다"며 "핵과 미사일, 인질을 이용하는 매우 냉소적인 방법으로 위기상황을 조성하면서 한·미·일에 접근해 '우리가 도발을 중단하면 뭘 줄 수 있느냐'고 묻고 있다"고 비판했다. {RELNEWS:right}

    특히 "북한의 과거 이 같은 게임 전술이 성공적이었던데다 김정은 일가로서도 개인적으로 부(富)를 축적하고 권력을 공고화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계속하려고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강행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김정은 정권은 자신들이 원하는 때에 언제든지 4차 핵실험을 강행할 수 있다"며 "이는 기술적 문제라기보다는 정치적 선택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블레어 전 국장은 현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전략적 인내' 정책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은 장기적으로 야만적인 정권이 자멸할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다"고 답변하고 "오바마 대통령이 매일 아침 일어나 '오늘은 북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지'라고 묻고 있지는 않지만 유능한 참모들이 매일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관련 대응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화재개론에 대해서는 "그동안 북한과 대화를 나눠봤지만 그 결과는 계략에 불과했다"고 일축하고 "결국 북한의 체제를 바꿔야 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실현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내 대표적 지일파 인사인 블레어 전 국장은 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매우 강력하고 애국적이며 민족적 명성을 얻고 있다"며 "두 사람이 성공적으로 정상회담을 한다면 양국 국민이 움직일 수 있는 신호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만 "한·일 정상회담에서 어떤 것을 도출해내느냐가 중요하며 공통의 이해와 기반을 형성하기 위해 양국 정부가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특히 "한국과 일본은 민주주의 국가로서 공통의 가치와 이해를 갖고 있기 때문에 만일 정상회담을 할 경우 중·일 정상회담보다는 훨씬 더 솔직한 화해를 이뤄낼 수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역할에 대해서는 "한·일 양국 사이에 논의의 장을 마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며 "당장 한·일간 양자회담이 어렵다면 한국, 일본과 각각 동맹을 맺고 있는 미국이 호스트가 되어 한·미·일 3자회담을 계속 이어가는 것이 유익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레어 전 국장은 과거사 문제와 관련한 일본의 태도를 겨냥해 "미국도 흑인 노예와 차별, 인디언 원주민 학살, 2차대전 당시 일본계 미국인 감금 등 부끄러운 과거를 갖고 있고 이를 거론하는 게 매우 불편하다"며 "그러나 개방된 사회에서는 과거를 정면으로 직시해야 하며 그럴 경우 실(失)이 없고 오히려 득(得)이 많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민들의 분노를 이해하지만 그렇다고 한국이 과거사 문제에 계속 지배당할 수는 없다"며 "이제는 미래를 바라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블레어 전 국장은 아베 총리의 방북 가능성에 대해 "정치적 결정에 달려있다"며 "그러나 모든 국가가 자국민을 되찾아오려고 모든 노력을 기울이는 것에 공감한다"고 우호적 입장을 보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