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직장인 남성 육아휴직 눈치보여 못낸다



기업/산업

    직장인 남성 육아휴직 눈치보여 못낸다

    자료사진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최근 남성 육아 휴직자 수가 증가 추세지만 여전히 많은 남성 직장인들이 육아 휴직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각 지방 고용노동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남성 육아 휴직자 수가 전년 대비 두 자리 수 증가했다(서울 48.1%, 대전충남 30.2%, 부산 77%)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아이가 있는 맞벌이 남녀 직장인 917명을 대상으로 '맞벌이 부부 가사 분담 정도'에 관해 조사한 결과 '남성 육아휴직을 사용할 계획이 있는가' 라는 질문에 78.0%가 '그럴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그 이유는 회사에 눈치가 보이기 때문(53.1%)이 가장 많았고 이어 내가 육아휴직을 내면 경제적으로 너무 힘들어서(31.5%), 육아휴직 사용 후, 승진이나 평가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까봐(10.3%)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가사 및 육아 분담도 남녀가 공평하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여성들이 체감하는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 정도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맞벌이를 하고 있는 기혼 여성 644명에게 '남편의 가사활동 참여 정도와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여성들은 '남편의 가사활동 참여 수준이 30%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4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40% 정도(27.0%)'라고 답했고 아내와 남편이 똑같이 돈을 버니 가사분담도 50%씩 해야 한다고 볼 수 있지만 남성의 가사참여 정도가 50% 이상이라고 답한 이들은 전체 26.6%에 불과했다.

    남편의 가사 및 육아 참여 정도에 대한 만족도도 그리 높지 않아 '매우 만족'과 '만족스러운 편'이라고 답한 이들은 각 3.7%와 15.5%로 전체 여성 응답자 중 20%가 되지 않았다.

    대신 남편들의 가사 및 육아 참여 정도가 '만족스럽지 않다(32.3%)'와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21.9%)'는 총 54.2%나 됐으며 나머지 32.3%는 '보통이다'라고 답했다.

    여성들이 느끼는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정도는 낮은 반면, 남성들은 본인 스스로 생각하기에 꽤 적극적으로 가사와 육아에 참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설문에 참여한 기혼 남성 직장인들에게 '스스로 생각하기에 가사와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질문한 결과, 65.6%가 '그렇다'고 답했다.

    ◇ 유연 출퇴근제가 '하나의 답'

    워킹맘들이 가정과 회사생활을 병행하면서 가장 힘들다고 생각하는 점은 아이가 아플 때 마음 편히 휴가를 사용할 수 없다는 점(51.1%)이었다.

    다음으로 살림과 육아 등에 남편의 참여가 없어 거의 혼자 해야 한다는 점(35.6%), 너무 어린 자녀를 양육기관에 맡기고 출근해야 한다는 점(33.1%), 아이의 학습지도 및 학교생활을 제대로 챙겨줄 수 없다는 점(31.1%) 등도 가정과 회사생활을 병행하는 워킹맘들이 가진 고충이라고 털어놨다.{RELNEWS:right}

    이처럼 힘든 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이 일을 손에서 놓을 수 없는 이유는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커 '경제적으로 가계에 도움이 되고 싶어서' 일을 놓을 수 없다는 의견이 응답률 90.2%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어떤 조건들이 보완된다면 워킹맘으로 일하기 한결 수월할 것 같은지 질문한 결과 출퇴근 시간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도(7시 출근 4시 퇴근 등)가 시행된다면 좋을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의견이 응답률 50.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직장 내 보육시설이 마련된다면 또는 믿고 맡길 수 있는 양육기관이 늘어난다면 좋겠다(28.6%), 남편이 가사노동과 육아를 적극적으로 도와준다면(28.6%), 출산과 육아와 관련한 정부 지원이 더 늘어난다면(27.5%), 눈치보지 않고 육아휴직을 길게 쓸 수 있다면(21.6%) 이라고 답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